초록 열기/닫기 버튼

노사자치의 산물인 단체협약은 원칙적으로 그 자체로서 법규범적 효력을 발휘하지만, 만약 그것이 단체교섭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거나 그 내용이 다른 법령에 기초하여 위법부당하다고 판단될 경우 해당 단체협약은 효력을 상실한다. 관련하여, 본 연구의 중심에 있는 단체협약상 근로자의 우선․특별채용 규정은 이른바 ‘고용세습’적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하여 그 효력에 대한 법적 논란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재판부는 근로자의 우선․특별채용 규정이 근로조건에 해당되지 아니하므로 애초에 단체교섭의 대상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노사합의 자체가 민법 제103조의 반사회질서행위에 해당되어 무효라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자는 근로자에 대한 인사사항이 근로조건에 해당될 수도 있다고 보는 기존의 판례의 입장 및 우선․특별채용 규정을 구체적으로 유형화하여 세부적으로 그 효력유무를 판단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우선․특별채용 규정의 효력을 일괄적으로 부정하는 재판부의 의견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즉, 우선․특별채용 규정의 여러 유형들 중에서도 업무상 재해로 인한 사망 근로자 가족에 대한 우선․특별채용 규정의 경우에는 그 공정성이 보충적으로 확보되는 한 해당규정의 효력을 인정할 여지가 있다고 본다. 또한, 위법부당한 고용세습규정에 대한 시정조치로서 현행법상 정부가 취할 수 있는 시정명령제도 및 이의 불이행에 대한 벌칙은 그 실효성 및 효율성 측면에 있어서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므로 누진적 혹은 가중적 처벌조치를 마련하는 등 입법불비에 대한 해결을 도모하는데 치중할 필요가 있다.


Collective agreement, which are products of labor-management autonomy, reasserts by law in principle, but if it is not subject to collective bargaining or their contents are judged to be unlawful based on other laws and regulations, that collective agreement regulations lose effect. In relation to this, there is a legal controversy about the effect of the first and the special employment regulations of the workers in the collective agreement, which is the center of this study, because it has contents of preferential employment. On the other hand, the justice department is judging to be invalid about this because the first and the special employment regulation of the workers is not applicable to working conditions and thus it is not subject to collective bargaining at the beginning, and that such agreement are ineffective due to the anti-social order acts of Article 103 of the Civil Act. However, I disagree with the opinion of the court that denies the effect of the first and the special employment regulation of the workers in all cases, on a basis existing cases that particular about workers recruitment conforms to working condition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effect of hereditary employment regulation by typing the first and the special employment regulation of the workers concretely.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priority and special recruitment regulations for the family members of the deceased workers due to work accidents among the various types of special recruitment regulation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effect of the regulations as long as the fairness is complementary. In addition, as a corrective measure against illegal preferential employment regulations, the penalties for the correction-order system and non-compliance by the government under the current law are not functioning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centrate on solving the legislative inconveniences through methods such as progressive and increased punitive 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