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한국 행정학 ‘사회분야’ 연구의 발전경로를 추적하기 위해 한국행정학보에 게재된 논문, 총 157편을 분석했다. 여기에서 사회분야라 함은 (헌)법 질서와 갈등, 사회통합, 재난・안전・위험분야 등 4개 연구분야를 의미한다. 이 연구는 KrKwic를 활용해 이 4개 분야에 나타나는 키워드의 도출 빈도를 정리하고 Net Miner 4.0 프로그램을 활용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실시함으로써 의미연결망을파악함으로써 행정학의 사회분야 연구가 함축하는 내적 발전경로를 추적하고자 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의미연결망을 구성하는 핵심 키워드를 바탕으로 내용분석을 수행하며 이를 스토리로 재구성하는 질적 작업을수행함으로써 사회분야의 발전과정에 특정 형태(configuration)와 내용(contents)을 부여했다. 결론적으로이 연구는 한국 행정학의 발전과정에서 사회분야 연구가 이제 거의 ‘독립적인’ 연구분야로 성장하기 시작했음을 지적한다. 그리고 아직 만족스러운 정도는 아니라 해도 사회분야 연구의 양적 증가와 질적 분화가 조직・인사・재무 등 미시적 관리기술에 한정된 ‘정통’ 행정학의 외연을 확장시키는데 일조하며, 행정 패러다임의 변화를 선도하는 전위적 위치에 있다고 평가한다. 사회분야 연구가 제안하는 가치와 규범은 ‘효율성’ 중심의 도구주의적 행정관을 넘어 사회통합과 갈등관리를 통한 민주성 확보와 대응성의 고양, 재난・안전・위험관리를 통한 선제적・적극적 행정의 모색, (헌)법질서 확립을 위한 헌법적 가치의 내재화 등을 주문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analyzed papers published i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to track the evolutionary path of the "social field" (respect for the law, conflict management, social cohesion, disaster and risk management) research in public administration studies. The research procedure was as follows. First, a total of 157 papers were divided into four sub-fields, and then time-series analysis was conducted to reconstruct the trend of the research. Second, we used KrKwic and Net Miner 4.0 for semantic network analysis. Finally,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based on the core to reconstruct the meanings of each research field. In conclusion, this study points out that within Korean administrative science, the social fieldis now becoming an almost “independent” research field. Even if it is notyet satisfactory,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and qualitative differentiation of the social field research helps expand "orthodox" administrative science, which is limited to micro-management techniques such as organizational studies, personnel management, or finance, and leads the change in the administrative paradigm from efficiency to equity and democ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