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과 언어연령 또는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집단 간 외현적 시연 여부에 따라 10초와 5분후 음운표상인출 수행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0초와 5분이라는 시간적 차이를 두어, 각각의 시간 경과후 외현적 시연을 사용했을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대해 세 집단 간 수행력을 반응의 정확도와 오류유형의 두 가지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그리고 대상자들의 수용, 표현어휘량과 새로운 음운표상인출 능력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세 집단 간 시연 여부 및 지연시간 정도에 따른 수행력 차이를 알아 본 결과, 단순언어장애 집단은 생활연령일치 집단보다 유의하게 수행력이 떨어졌으나 언어연령일치 집단과는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세 집단 모두에서 시연 비동반 과제보다 동반 과제에서 수행력이 유의하게 좋았고, 10초 후에는 시연 비동반 과제와 동반 과제의 수행력에 차이 없었던 반면 5분 후에는 시연 동반 과제의 수행력이 유의하게 좋았다. 단순언어장애 집단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음절생략, 단어오류, 무반응과 같은 오류유형을 유의하게 많이 보였다. 새로운 음운표상인출 능력은 수용, 표현어휘량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논의 및 결론: 외현적 시연이 일반 아동뿐 아니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음운표상인출 능력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단어학습에 어려움을 보이는 언어장애 아동들의 치료 방향에 시사하는바가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ability to retain and retrieve new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PR) with and without vocal rehearsals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SLI) and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Methods: Ten SLI children, 10 chronological age (CA)-matched children and 10 language age (LA)-matched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o compare the three groups’ performance in terms of accuracy and error types, this test set time intervals of 10 seconds and 5 minutes; one with vocal rehearsal and one without vocal rehearsal after a lapse of time. The relationship among the new PR task performances and receptive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were examined. Results: SLI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ability in retrieving new PR than CA group but were similar to LA group. The performance with vocal rehearsal was not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without vocal rehearsal after 10 seconds but it was significantly better after 5 minutes. SLI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error types such as syllable omission, lexicalization and no response when compared to the two other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new PR tasks, receptive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vocal rehearsals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new PR storage and retrieval in both SLI and TD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