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차명수와 황준석은 『경제사학』 제59호(2015)에서 필자를 비판하였다. 이 논문은 그 논문에 대한 대답으로 작성되었다. 그들의 주장은 1910년대의 쌀의 공급이 가격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1910년대 쌀 가격이 상승하였기 때문에 쌀 생산이 증가하였다는 것과 다수확 품종인 일본 품종이 매우 빠르게 보급됨으로써 토지 생산성이 증가하고 따라서 1910년대 쌀 생산이 증가했다는 두 가지 주장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통계의 정확성이 특히 의심스러운 1910-1913년을 제외하고, 1914-1926년간의 쌀의 생산량과 가격에 대한 데이터들로부터 공급곡선을 도출해 보면, 공급곡선은 수직선이었고, 따라서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0에 가까운 것이었다. 또 일본 품종의 보급에도 불구하고 1926년까지 단보당 생산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본 품종이 다수확 품종이라는 것도 입증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일본 품종이 척박지에서 비옥지로 보급이 확대되어 갔다는 가설을 도입하여 일본 품종이 다수확 품종이라는 것을 입증하려고 시도하였지만, 그들이 사용한 시뮬레이션에서도 또 회귀분석에서도 나아가 당시의 여러 기술사료들에서 보았을 때 타당하지 못한 것이었다.


Myung-soo Cha and Jun-seok Hwang criticized me in Review of Economic History No.59 (2015). This paper was written in response to that paper. Their argument is made of two parts stating that the increase in rice prices in the 1910s led to an increase in rice production and that the rapid spread of Japanese rice species, the high-yield varieties, increased land productivity and thus increased rice production in the 1910s. However, except in 1910-1913 where the accuracy of the statistics was particularly questionable, when we derive the supply curve from the data on rice yield and price from 1914 to 1926, the supply curve was a vertical line, and therefore the price elasticity of supply was close to 0. In spite of the spread of Japanese rice species, until 1926, production per tan(段步) remained almost unchanged, so it could not be proved that Japanese rice species were the high-yield varieties. Nevertheless, they have introduced a hypothesis that Japanese rice species have been spread from infertile to fertile fields and tried to prove that Japanese rice species were the high-yield varieties, they were not valid in the simulations they used, nor in their regression, nor in the descriptive historical records of the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