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내재적 동기, 동일화 동기, 그리고 외재적 동기가 조직 분위기에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조사를 위하여 자기-결정성에 따른 동기들이 직무만족의 매개 효과를 통해 조직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할 수 있도록 구조 모델을 만들었다. 이 구조모델을 활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재적 동기 및 동일화 동기는 직무만족의 매개 효과를 통해 조직 분위기에 긍정적이었지만, 외재적 동기는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가 미약하여 조직 분위기에 영향을 미칠 수 없었다. 한편, 조직 분위기와 직무만족 간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작용 관계이다. 상호작용 관계의 비 재귀 모델을 “연동 모델”이라 말하며, 이러한 모델을 통하여 요양보호사들이 조직적 차원뿐만 아니라 개인적 차원에서 높은 수준의 자기-결정성을 가진다면, 직무만족뿐만 아니라 조직 분위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long term care worker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s and its effects on organizational climate. This study also has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review the mediated effect of the job satisfaction in the process from motivation to the organizational climate. According to the results, intrinsic motivation and identified motivation were shown to influence the organizational climate through the mediated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group of long term care workers. However, among sub-variable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 identified motivation turned out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organizational climate, while external motivation was shown not to significantly influence i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could be an effect of long term care workers’ organizational variable in the individual dimensions with high level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