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문학에 기댄 다양한 치료 연구와 방법들 가운데에서도 ‘은유 Metapher’, ‘은유적 이야기 Metapherngeschichten’와 관련한다. 은유와 은유적 이야기를 활용한 치료는 심리학 분야에서 주도적으로 왕성한 연구와 실행이 이루어져 왔다. 그래서 이제는 심리극치료, 단기 가족치료, 문제행동의 해결중심치료 등과 같은 상담심리치료방법에서 은유 치료는 치료 상황에서의 부속적인 치료 도구로 사용되는 것을 넘어서 치료방법과 상황의 전체 틀 역할까지도 하고 있다(Kopp 1995, xvi). 그러나 은유가 지닌 치료적 기능과 활용 가능성이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은유의 본고장이라 할 수 있는 문학 분야에서는 문학연구자와 교육자들이 주도하는 치료적 기능으로서의 은유에 대한 연구, 은유적 이야기의 치료적 방안에 대한 탐색과 실행이 여전히 미미한 상황에 있는 실정이다(이민용 2010b, 293). 은유와 은유적 이야기가 지닌 치료로서의 기능과 장점 그리고 사례를 제시하는 저서와 논문에서 공통적으로 언급하고 따르는 주요한 원리들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은유와 은유적 이야기 치료는 내담자가 치료 과정으로 순조롭게 진입할 수 있도록 내담자의 저항을 다루는 효과, 내담자가 경험한 과거 이야기 정체성에 대한 변화 시도, 해당 문제에 대한 대안 · 대체 · 관점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이라는 점에서 치료를 위해 효과적이고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문학행위인 것이다(Hammel 2009; Priebe/Dyer 2014; Schneider 2009; 고미영 2004). 본 연구는 이 연구와 관련한 모임에 참석한 한 연구 참여자가 친모의 외도와 분노로 인해 이전에 겪었던 아픔과 관련한 사례에 초점을 두었다. 이 사례에 관한 연구 필요성은 외도와 분노 문제가 현실세계와 허구세계 도처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면서도 이로 인해 우리 삶에 심각한 사태를 초래하기 때문에 해결의 필요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외도와 분노 문제는 일차적으로 해당 연구 참여자의 문제이면서도 이 주제가 특정 개인과 소수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 그래서 이 문제들은 현상적으로 과거 현재 미래의 인간사회 도처에서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본질적으로 인간의 본능, 감정, 기질, 죄의식, 범죄 등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는 중요성을 지닌다. 이외에도 이 논문의 주요한 연구 필요성은 연구자인 ‘나’에게도 있다. 연구자인 나는 대학에서 연구와 교육을 하는 사람이면서 동시에 한국과 지역사회 공동체에서 살아가는 한 개인이다. 그 안에서 타인과 더불어 영향과 도움을 주고받으며 살아간다는 것은 나에게 혜택이면서 동시에 빚이기도 하다. 즉 연구 필요성은 나 밖에서 일어나고 관찰되는 외도와 분노라는 문제들에서 찾는 것과 함께 내 삶의 존재 방식, 삶의 의미 찾기에도 존재한다(참조, 김영천 2013, 12-15).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t es um die Literatur in ihrer therapeutischen Funktion und ihre Anwendungen in der realen Welt. Im Mittelpunkt stehen Beispiele aus Metapherngeschichten. In Metapherngeschichten gibt es eine therapeutische Funktion, weswegen sie seit langem mit Nutzen in der Psychotherapie Anwendung finden. In vorliegender Arbeit wird eine weibliche Person behandelt, die an der therapeutischen Sitzung teilnimmt. Sie erlitt in ihrer Kindheit durch und über ihre Mutter oft den Schmerz des Ehebruchs und der Wut. In der Sitzung erfährt sie therapeutische Behandlung, die mit Metapherngeschichten durchgeführt wird, die von anderen Teilnehmern der Sitzung für sie geschaffen wurden. Vorliegender auf qualitativem Forschungsansatz beruhende Beitrag gliedert sich in drei Abschnitte. Im Abschnitt eins werden die Bedeutung der Literatur in ihrer therapeutischen Funktion und der Begriff Metapherngeschichten geklärt. Im Abschnitt zwei wird das Problem des Ehebruchs und der Wut beschrieben, wobei als Ausgangsmaterial zwei deutsche literarische Stücke und einige wissenschaftliche Artikel dienen. Im Abschnitt drei wird der Lernprozess zur Schaffung von methaphorischen Geschichten vorgestellt, die zu Behandlungszwecken bei den Teilnehmern eingesetzt werden. Es folgen Beispiele zum praktischen Einsatz dieser Geschichten. Im dritten Abschnitt behandelt es sich um den Verlauf der etwa zehn Sitzun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