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노후준비상태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한 조사는 천안시에 거주하는 베이비붐 세대로 한정하고, 노후준비는 신체적 노후준비, 경제적 노후준비, 정서적 노후준비의 세 가지 차원으로 분류하여접근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베이비붐 세대 300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최종적으로 활용하였고, SPSS21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등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세 가지 차원의 노후준비 변수들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후준비상태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성공적 노화를 위한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를 향상시키기 위한정책개입의 중요한 초점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책적 시사점으로 인생2막을 위한 대상별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은퇴 교육프로그램의 이행 의무화, 통합적인 협력체계 구축, 삶의 균형적 배분을 위한 생애주기 맞춤형 사회참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전문성을 살린 재능기부형 사회공헌활동을 활성화 하는 등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적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how baby boomers’life satisfaction could be influenced by how well they have been prepared for their post-retirement lives and to determine whether self-estee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retirement planning and life satisfaction of baby boomers. We categorized the post-retirement preparedness into three groups:physical, economical and psychological preparedness. Three hundred baby boomers living in Cheona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SPSS21 regression analysis as well as mediating regression model were used to analyze the survey results. Our study demonstrates that all three categories of the post-retirement preparedness significantly influence baby boomers’satisfaction with life and that the effect is mediated by self-este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the basis for future policies to improve the wellbeing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Our policy suggestions include mandatory education programs for post-retirement careers, the expansion of volunteer opportunities in community services and social contribution programs, where baby boomers can share their expertise with people in n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