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장선우 감독의 영화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을 중심으로 게임 서사와 영상 매체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법적 실험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텍스트는 이질적인 매체인 게임 서사와 영상 매체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각각의 고유한 매체적 특성을 살리기 위한 독특한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들 미학적 실험 전략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이 텍스트는 게임 서사가 지니는 비선형적 성격을 재현하기 위해 영상 매체를 게임 내부 서사와 게임 외부 서사의 두 겹 이야기 구조로 설정했다. 그 결과 일반적인 영상 매체에서 재현 불가능한 게임 서사를 텍스트의 속 이야기 층위에서 구현하는 것에 성공할 수 있었다. 둘째, 게임 서사의 캐릭터 재현 과정에서 영상 매체가 지니는 특성을 활용하여 직접적인 이미지 제시를 통해 캐릭터를 구현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영상 매체는 시각적 이미지 재현에 특화된 성격을 지니며, 이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게임 서사의 캐릭터 특성을 생생하게 재현할 수 있었다. 셋째, ‘나비’ 이미지 등 도교적, 불교적 사유의 시각적 재현을 통해 텍스트의 주제 의식을 환기시키는 특성을 보여준다. 이는 관념적인 사유를 이미지 스토리 텔링을 통해 구체화시켜 제시하기 위한 중요한 실험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와 같이 장선우 감독의 영화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은 게임 서사와 영상 매체라는 이질적인 매체를 독특한 실험을 통해 결합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선구적인 뉴미디어 텍스트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various technical experimental aspects in the process of combining game narrative and film media mainly with the director Jang, seonwoo’s film <Resurrection of the Little Match Girl>. This text is remarkable in respect of performing a unique test to raise the original medium characteristic of each in the process of combining game narrative and film medium, which are different media each other. These esthetic experimental strateg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First, this text set the image medium into dual story structure of internal game narrative and external game narrative in order to realize the nonlinear characteristic of game narrative. As the result, this research could succeed in realizing the game narrative impossible in reproducing in general film medium in the story layer in the text. Second, this research utilized a strategy to realize the character through direct image suggestion utilizing the image medium in the process of realization of game narrative character. Film medium has a characteristic specialized in the visual image realization, by properly utilizing this. Third, this research shows a characteristic to air out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the text through the visual expression of Taoistic, Buddhistic thinking as ‘butterfly’ image, etc. This is remarkable in respect that it is an important experiment to concretize and suggest the ideological thinking through image storytelling. This way, director Jang, seonwoo’s film <Resurrection of the Little Match Girl> can be evaluated as an advanced new media text, in respect of combining the different media, game narrative and film medium through the unique experi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