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의 고대목간은 전체 출토점수가 647점에 달해, 현재 그 자료적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발굴된 한국고대목간의 대부분은 신라목간이다. 경주의 안압지, 월성해자, 황남동 376번지유적과 같은 신라의 도성유적을 비롯해, 하남 이성산성, 함안 성산산성 등 지방의 관아유적에서도 목간이 발굴되었다. 신라목간은 백제목간에 비해 출토점수도 많고, 목간출토 유적이 시대별로, 또 지역별로 골고루 분포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신라목간문화의 변천과정이나, 목간제작이나 서사방식에 나타나는 지역별 차이까지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월성해자 출토 목간과 안압지 출토 목간은 그 출토 유적의 시기적 선후가 명확히 구분되기 때문에 신라 문자문화의 계기적 변화와 발달을 유추할 수 있는 지표 유물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백제목간은 부여 官北里 유적에서 1983년에 최초로 발굴되었고, 1995년 부여 宮南池 유적에서 ‘西部後巷’이 墨書된 1호목간이 발굴되면서 5부5항의 실재성이 증명되었다. 이로 인해 연구자들 사이에 목간 자료의 가치가 새롭게 인지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부여의 여러 유적에서 연이어 백제목간이 출토되면서 목간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크게 고조되었다. 더욱이 최근에는 羅州 伏岩里 유적 등 지방관아에서 생산된 각종 문서목간이 여러 점 발굴되어 이제는 백제의 都城뿐만 아니라 지방사회의 존재양태와 인민에 대한 지배방식에 대한 연구도 가능하게 되었다. 백제목간은 신라목간에 비해 그 출토점수는 비록 적지만, 질적인 측면에서 매우 다양한 정보들을 담고 있다. 특히 기존의 연구에서 불모지였던 백제의 戶籍, 量田, 度量衡, 地方行政體系, 문서행정, 都城 내외의 공간구조와 景觀, 術數學, 심지어 제사의례의 복원까지도, 목간자료를 제대로만 활용한다면 접근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The total number of ancient Korean wooden documents excavated to date is 647 pieces, and the data base is increasing. Most of the items found so far are form the Silla dynasty. There were excavations in the ruins of Silla, such as Anapji pond(雁鴨池), Wolseong moat(月城垓字), and 376 Hwangnam-dong(皇南洞), Gyeongju(慶州). In addition, wooden documents were unearthed in the ruins of the local government sites such as Yisung mountain castle(二城山城) in Hanam(河南) and Sungsan mountain castle(城山山城) in Haman(咸安). The number of excavated wooden documents from Silla is more than Baekje, and the remains are scattered evenly by period and region. Therefore, studies on the cultural change of the Silla wooden document, th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production of wooden documents, and the method of writing are being conducted. In particular, wooden documents of Wolseong moat and Anapji pond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temporal precedence relationship of the excavated ruins, which means that it can be used as an indicative relic to show transition process and development of characters of Silla. Baekje's wooden document was first unearthed in 1983 at Kwanbuk-ri(官北里) in Buyeo(扶餘). In 1995, a wooden document with the word 'West zone, Back street(西部後巷)' was unearthed from the ruins of Kungnam-pond(宮南池) in Buyeo and proved the existence of 'Five zones, Five streets(5部 5巷)'. Since then, Baekje's wooden documents were excavated continuously in various places of Buyeo, and the interest among the researchers has increased greatly. In recent years, various documents have been unearthed in Bokam-ri(伏岩里), Naju(羅州) where a lacal government was located. It is now possible to study not only the capital city of Baekje but also the mode of existence of the local society and the way of domination of the people. The wooden document of Baekje cotains a lot of information in terms of quality though it has fewer excavations than Silla. Until now, the research on Baekje's family register, land survey, metrology, local administrative system, and document administration has rarely been conducted. However, if we utilize the wooden document as a material to study history in the future, I think that it will help researchers understand various aspects of Baeje: the administrative system, the structure and the surroundings of the capital, and mathematics. Finally, to restore some ritual ceremonies would be possible based on this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