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국의 소수민족 언어는 소수민족 보호정책 차원에서 헌법 및 법률의 보호규정으로 법적 위상이 상당히 제고되었다. 그러나 정책산출의 측면에서 실제 그 보호효과와 위상이 약화되고 오히려 동화주의적 효과가 강화되었다는 논의들이 다수 제기되었다. 이 연구는 소수언어정책 목표에 함축되었던 의도와는 달리, 집행과정 및 효과의 측면에서 현실적 괴리를 초래한 소수언어 발전의 장애요인을 탐색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중국의 민족공동체 특성과 언어권리 개념 및 언어정책 유형 등을 논의한다. 둘째, 중국 소수언어정책의 전개와 내용을 살펴본다. 셋째, 실제 소수언어정책과 현실 사이의 괴리요인들을 추적한다. 넷째, 이러한 괴리요인들의 시사점을 논의한다. 소수언어정책의 현실적 괴리요인으로 소수민족지역의 일선 학교와 가정의 재정적 빈곤, 공립학교에 대한 부모의 불신, 정부 관리들의 편견, 한족 문화・지식 중심의 소수민족 교과내용, 한족 관점에서 구성된 소수민족 문화・지식 교과내용, 언어자본으로서 한어 위상 강화, 공사 모든 생활영역에서 한어의 지배 영향 및 소수민족 개인의 자발적인 중앙 지향적 욕망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괴리요인들로 인하여 궁극적으로 소수민족의 정체성 약화와 언어권리 박탈, 소수언어의 멸종 위기, 공용어인 한어의 우세로 인한 소수언어 위축, 중앙 지향적인 인식체계 형성, 그리고 소수민족에 대한 동화주의적 교육 등 부정적 측면을 초래하고 있다. 요컨대, 중국의 소수언어정책은 중국정부가 국가의 안정과 국민의 화합의 이름으로 소수민족의 문화와 언어에게 베푸는 관용이며, 동화주의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The legal status of Chinese minority languages has witnessed significant improvement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Constitution's protection clauses and policies concerning minority protection. However, many have argued that this is only a declarative principle. Rather in terms of policy outputs, the status and protection effect is rather weak and the assimilation effect is stronger. This study explores the barriers to minority language development that runs counter to the intentions contained in the initial minority language policy goals and results in a disjunction between implementation processes and effects. First,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national communities, the concept of language rights, and types of language policies. Second, it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contents of the Chinese minority language policy. Third, it tracks the factors that resulted in a disjunction between the minority language policy and reality. Fourth, it discusses implications of these factors. A number of practical disjunction factors include financial poverty of schools and families in ethnic minority regions, parents' distrust of the public schools, prejudice of government officials towards minority culture, minority curriculum contents that focus on the Han culture, minority culture and knowledge contents constr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an tribe, reinforcement of Chinese language as a language capital for trade and job seeking, dominant influence of Chinese in all areas of life, and the voluntary central-orientation of minorities. These factors lead to negative results such as the weakening of minorities' identity, deprivation of language rights, gradual disappearance of minority languages, decline of minority language due to the dominance of the common language, the formation of a centrally-oriented cognitive system, and proliferation of assimilation approaches to minority education. In short, China’s minority language policy is reflective of the Chinese government's desire for national stability and harmony under the form of tolerance for minority cultures and languages, and indicates how the transition to assimilation is occur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