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전시체제기 식민지 조선의 노동사에 대해서는 조선총독부의 노동정책, 일본제국 내 각지로의 노동자 공출, 숙련 인력의 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개별 사례에 대한 분석에 앞서 거시적 논쟁이 중심을 이루어 일제 말의 노동 일반을 ‘강제동원’을 중심으로 설명하거나, 총력전체제하 비식민지 지역의 상황을 일반화해 식민지적 특수성을 간과하는 오류가 반복되었다. 이 글은 일본질소 흥남 비료공장의 사례를 통해 전시체제기 식민지 대기업의 고용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노동시장’과 ‘강제동원’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주목해 일본 본토 노동시장과 식민지 노동시장의 차이를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문 1장에서는 전시체제기 이전의 노동자 구성과 고용 관행을, 본문 2장에서는 전시체제기 고용구조의 전환 과정을, 본문 3장에서는 미숙련 노동자의 대규모 유입으로 인한 ‘노동 희석’의 대응책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전시체제기 역시 그 이전까지 형성되어 온 ‘특정 민족적 귀속성에 대한 편향(일본인 선호)’가 유지되어 고용 정책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었으며, 이로 인해 조선인 노동자는 일본인 노동자를 보완하는 역할에 그쳤음을 증명했다. 또한 일본 본토와 비교할 때 조선인에게는 보편적인 기술 교육의 기회 역시 현저히 부족했고, 전시체제기 말까지도 대량 해고가 일상적으로 유지된 사실을 밝혀냈다. 기존의 많은 연구는 20세기 총력전체제하에서 절대적 노동 인력의 고갈로 인해 ‘고용 안정’이 이루어졌으며, 노동자는 ‘산업전사’라는 국가적 존재로 인정받고 국민적인 사회보장체제에 편입될 수 있었다고 정의해 왔다. 그러나 이는 ‘식민지’라는 시대상을 간과한 일면적 정의였다. 식민지 조선 내 최대 규모의 기업이었던 일본질소 흥남 비료공장에서 조선인 노동자는 일본인 노동자의 유입출을 보완하는 부차적 역할을 담당했다.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에도 조선인 노동자는 보편적 기술교육 기회나 고용 안정을 보장받지 못했다. 이 글에서 분석한 고용정책은 급여 정책에 대한 연구를 통해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회사 측이 이러한 고용 정책을 어떠한 방식으로 급여 정책에 반영했는지, 전시체제기 대기업 노동자에 대한 기업의 사회보장은 어떠한 수준이었는가를 검증할 수 있다.


Regarding the history of labor in colonial Korea before and during World War II,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labor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 consignment of workers to various parts of the Japanese Empire, and the training of a skilled workforce. However, these studies focused on macroscopic disputes rather than analysis of individual cases. Thus, they repeated the error of explaining all labor towards the end of Japanese imperial period only in terms of ‘forced mobilization,’ or of generalizing the situation in non-colonial regions under the total war regime (namely, one in which the absolute scarcity of the labor force brought about an improvement in the status of the working class) and thereby neglecting the distinctive features of colonial reg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ployment structure of a big colonial corporation before and during World War II through the case of Nihon Chisso’s fertilizer factory in Hungnam, thus focusing on both ‘labor market’ and ‘forced mobilization,’ and elucid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abor market on the Japanese mainland and the colonial labor market.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composition of the workforce and employment practices prior to World War II in the first section, the changing of the employment structure before and during World War II in the second section, and measures taken in response to ‘the dilution of labor’ due to the massive influx of unskilled workers in the third section. Through this analysis, it is shown that ‘the bias towards membership in a particular nation (i.e., preference for the Japanese)’ that had been in place earlier on was maintained also during World War II and actively reflected in employment policies. Hence Korean workers were confined to a supplementary role in relation to Japanese workers. It is also revealed that Koreans were conspicuously deprived of the opportunity to receive universal technical education compared to the Japanese mainland, and that massive layoffs were common even until the end of World War II. Many extant studies have assumed that the absolute depletion of the workforce under the total war system has led to ‘employment security,’ and that workers received national recognition as ‘industrial soldiers’ and were accommodated within the national social security system. This assumption, however, is one-sided, and ignores the colonial aspect of those times. At the Hungnam fertilizer factory owned by Chisso, the largest corporation in colonial Korea, Korean workers served a secondary role supplementing the influx and outflow of Japanese workers. Even after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Korean workers did not receive opportunities in universal technical education and employment security. The employment policies analyzed in this study need to be supplemented by research on wage policies. Through such future research, it will be possible to examine how the above-mentioned employment policies were reflected in the corporation’s wage policies, and what level of social security the corporation afforded to its workers during World War 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