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1392년 조선건국의 역성혁명이 그 출발에 있어서 유교, 성리학의 정치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사전에 계획된 것은 아니라는 관점에서 시작한다. 그 역성혁명 과정에 유교, 성리학자들은 다만 한 부분으로서 참여했는데, 그런 참여가 점차적으로 유교, 성리학이 조선의 지배적인 정치이념이 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논문 초반부에서는 여말선초 성리학의 도입과 확산의 정도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 시기 유학자들은 성리학을 접했지만 현실적으로 종교로서 존속하는 불교를 인정하는 경향과 불교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강력하게 배척하는 경향의 인사들로 분리되어 있었다. 이들 중에서 역성혁명에 가담한 집단은 불교의 타락과 고려의 멸망을 연결시키는 유학자들이었다. 필자는 이들이 그 숫자에 있어서나 그 학문적 성숙도에 있어서나 성리학을 가지고 그것을 정권의 변동을 위한 이념적 가치나 목표로 정했을 것이라고 볼 수 없다고 서술하였다. 다만, 조선건국이 이념적으로 사전에 계획된 것은 아니었어도 정도전과 같은 유학자들의 참여로 인하여 유교적인 정치이념이 그 역성혁명을 정당화하는데 동원되었고, 조선건국 이후에 국정운영의 방향을 유교적으로 나아가게 하는데 분명한 기여를 했다는 점을 또한 상술하였다. 이들의 참여가 계기가 되어 그 이후 조선은 점차적으로 유교국가로 나아가게 되었고, 특히 여타의 사상이나 종교를 인정하지 않는 성리학의 이념적 배타성이 또한 조선에서 유교가 주도적인 정치이념으로 정착하게 하는 요인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면서 역성혁명 이후에 유학자 관료들이 조선이 유교 국가로서의 위상을 갖도록 그 군주권을 이론적으로 정당화하고 정치에서의 공공성을 강조했던 바와 같은 건국초기에 전개된 유교, 성리학의 정치사상적 구상들을 소개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dynastic change from Goryeo to Joseon in 1392 was not an attempt to transform Korean society according to Neo-Confucian ideology. Neo-Confucian scholar-officials were only a part of the force that brought about the dynastic change, but their participation did pave the way for Confucianism to gradually become the dominant political ideology in Joseon. In the late Goryeo period, Neo-Confucianism was transmitted to Korea and expanded its influence. At the time, Korean Confucian scholars were divided between two groups who differed in their view of Buddhism. Confucian scholar-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the dynastic change belonged to the group that actively linked the fall of the Goryeo dynasty to Buddhist corruption. In terms of their numbers and scholastic maturity, it is unlikely that Confucianism provided the ideological values or objective for the political change. While the dynastic change was not driven by ideology, Confucian scholars such as Jeong Dojeon mobilized Confucian ideology to legitimize the founding of the new state and thereby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Confucian influence in the state affairs. Thus, Joseon was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Confucian state, and ideological exclusivism of Confucianism also led to its domination of Joseon politics. Jeong Dojeon and others put forward Neo-Confucian political ideology to provide theoretical justification of monarchical system, to emphasize public interests against the royal authority, and even to propose balance of power between the ruler and the officialdom. In short, the dynastic change in the late 14th century was an ideologically “unplanned revolution.” However, after the founding of the new state, Neo-Confucian legitimation of the political change, Confucian cultivation and refinement of rulers, and the emphasis on the public aspects in state affairs would all contribute to political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ization of Joseon as a Confucian 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