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K-Drama와 K-Pop은 세계화에 성공했지만 K-Food는 세계화에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K-Food가 세계인들에게만 인기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 한국인에게도 인기가 부족하다. 특히 젊은이들에게는 외식을 할 경우 우선순위에서 양식, 중식, 일식에 밀린지 오래되었다. 많은 한식에 관한 음식축제에도 불구하고 한식이 세계화되지 못한 것은 한식이 고유성을 지나치게 고집한 나머지 한국인은 물론 세계인의 입맛을 맞춰내지 못해 보편화를 이루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젊은이 중에서 부산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식, 중식 및 일식에 대한 선택속성, 식단의 특성에 대한 이미지 및 식단이용의 만족도를 비교분석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 대학생들의 한식, 중식 및 일식에 대한 선택속성, 식단의 특성에 대한 이미지 및 식단에 대한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을 검정한 결과 대학생들은 한식이나 중식은 물론 일식을 선택할 때 맛이나 차림새 때문에 선택하는 것은 아니며, 중식은 향, 색, 메뉴의 다양성, 영양의 풍부, 웰빙건강식단, 입맛에 맞기 때문에 선택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식, 중식 및 일식별 식단의 특성에 대한 차이검정을 한 결과, 식단의 전통적인 고유성에 대해서는 중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한국의 대학생들은 각국의 식단의 특성에 대해서는 한식, 중식, 일식 간에 뚜렷한 특징적인 차이점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설은 부분적으로만 채택되었다. 이러한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한국의 기성세대들과는 달리 젊은 대학생들은 한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지 않으며, 배달음식으로 많이 접하게 되는 중식이 의외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젊은 대학생들은 편리하게 배달되는 음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K-food) is thought to be rather unsuccessful compared to that of K-drama and K-pop. In fact, K-food is unpopular not only among the people around the world, but also among the Korean people. Korean food has been ranked lower than western, Chinese, and Japanese food as an option to dine out, especially among young generations. The failure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in spite of numerous food festivals regarding Korean dishes, is thought to be caused by somewhat tenacious persistence on the uniqueness of Korean food, which leaded to the generalization of it towards the people outside Korea rather unsuccessf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on college students in Busan area for their choice attributes o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food, their impression on the nature of the menu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on each type of food. The following hypothesis was proposed. Hypothesis: There will be a meaningful difference on college students’ choice factor, impression, and satisfaction level o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food. After carefully testing the hypothesis, we found that the taste or the plating of the dish was not the decisive factor when making a choice among Korean, Chinese and Japanese food. Chinese food was chosen because of its diverse flavor, color and menu, rich nutrition, well-being healthy diet, and appetite of college student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Chinese food fits Korean college students’ appetite. Additionally, whe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food were used to test difference, Chinese food showed the highest traditional uniqueness on its menu. Overall, it seemed like Korean college students had no distinctive difference over Korean, Chinese, and Japanese foo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enus. The hypothesis was only partially adopted. What this result implies is that, unlike the older generations in Korea, the younger people have a weaker preference on Korean food, and surprisingly favorable evaluation on Chinese food, a common delivery food, which shows college students’ preference on conveniently delivered food. Although there are Korean restaurants with delivery service, they are not as common as Chinese restaurants, which leads to lower preference on Korean food over Chinese food. Moreover, the result showed quite different evaluation on Japanese food from common sense on it, presumably because of the huge restriction of the Japanese food consumed by college students and its inconvenient nature of deliv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