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을 사는 현대인들은 그 어느 때보다 영성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자신의 삶의 의미 등의 실존적 문제의 해답을 얻기 위해 영성수련에 매진한다. 이름도 알 수 없는 수많은 종류의 기수련과 뉴에이지의 영성음악과 명상들이 이를 대변한다. 그러나 정작 이러한 실존적 고민들에 답해 주어야 할 교회는 현대인들의 영적갈증에 해갈을 제시해주지 못하고 있다. 이들의 요구에 응답해 줄 기독교가 가진 영성의 전승이 있다면 어떤 것이 있을까? 예수님께서 세우신 하나였던 교회는 지금 수도 헤아릴 수 없는 교단과 교파로 나뉘어져 있다. 그들은 각각의 영성을 정의하고, 또 그것을 교육하고 있다. 한국과 동양은 그리스도교와 토착신앙의 융합과 대결의 구도 속에 고민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 우리는 영성요구의 시대, 교단간의 공통분모, 그리고 타종교와의 대화를 가능케 하는 대안으로 ‘예수기도’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정작 기독교 내에서 마저도 교파의 선입견 가운데 아직, 예수기도를 동방교회의 상징적 요소정도로만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4세기경 시작된 예수기도는 더 깊은 전통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것은 예수기도는 초대교회의 전승이며, 또한 구약과 신약을 아우르는 성호(聖號)에 대한 경외 속에 삼위일체 되신 하나님에 대한 기도의 부름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견해이다. 14세기 러시아에서 각광 받았던 이 예수기도는 오늘날 서방교회의 로만 가톨릭과 개신교회에서 다시 한번 주목 받는 관상기도의 주요방법이 되었다. 단순, 기억과 반복, 그리고 무념, 호흡 등의 방법들이 영적인 훈련의 주를 이루는 이 기도를 본고에서는 영성교육의 눈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영성신학 내지는 교회사에서 다룰 수 있는 예수기도를 실천적 장으로 적용시키기 위해 먼저 이론적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고는 II 장에서 먼저 예수기도를 신학적으로 고찰 할 것이다. 역사신학적, 성서신학적, 조직신학적, 그리고 실천신학적 토대를 살펴보며 예수기도에 대한 개론적 이해를 삼으려 한다. III 장에서는 좀 더 구체적인 접근으로 예수기도에 대한 교육학적 분석을 시도해 보려 한다. 그리고 마지막 IV 장에서는 예수기도에 대한 한국 상황 속의 실천적 적용으로서의 영성 교육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을 하려 한다.


Today, people look to quench spiritual thirst, perhaps more than at any other time in history. The reason is that people in a modern society, those who are facing existential problems, are seeking their existential solution in spirituality. Korea is no exception. There are many spiritual methodological streams to find spiritual rest such as meditation with new age music, yoga, or nameless energy training. However, the Church does not give them, seekers, enough spiritual answer. If we Christians have spiritual traditions for this answer, what are they? Unfortunately, today, the One Church, which was established by Jesus Christ, has divided into countless denominations and sects. Each denomination and sect defines their own definition of spirituality and educates for each spiritual formation. How about relations with other religions in Korea? Korea and Oriental countries have come into conflict between Christianity and indigenous religions. In this age, which has many spiritual needs,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Jesus Prayer as an answer which can be a common denominator and bridge of dialogue with other religions. Unfortunately, many people think that the Jesus Prayer is just a symbol of the Eastern Orthodox Church because of their denominational and theological limitations. However, the Jesus Prayer, which comes from 5th century, would have older traditional background than we imagine. It may be an early Church's tradition and comes from calling awesome God's holy name in biblical bases. As a method of meditation prayer, the Jesus Prayer, which was rediscovered by the Russian Church in 14the century, was brought into the spotlight again by Today's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 Protestant Church. Therefore, in this study, I will explore this Prayer which has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iritual exercise such as simple, remember, repetition, freedom from distraction, and breathing by the spiritual educational perspective. In order to apply the Jesus Prayer, which deals with spiritual theology and church history, to the practical context, it first needs theoretical exploration. Thus, in chapter II, I will conduct a theological study about the Jesus Prayer. Examining historical, biblical, systematic, and practical theological bases, I will explore introductory understanding of the Jesus Prayer. In chapter III, in a more detailed approach, I will try to deal with educational analysis of the Jesus Prayer. In chapter IV, the final chapter, I will offer suggestions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Jesus Prayer in a Korean Con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