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소명의식의 선행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 가치, 내재적 동기부여, 일 지향성, 변혁적 리더십, 조직 동일시의 다섯 가지 독립변수들을 이용하여 실증분석 하는 것이다. 소명의식(Calling)이란 개인이나 사회에 유익함을 제공하여 개인적인 성취감을 느끼게 하며, 개인의 삶의 목적과 의미로써 인식되는 개념이며, 소명의식을 지닌 개인은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일이 생계에 큰 도움이 되지 않거나 외부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한다고 해도 자신의 일 그 자체에서 성취감을 느끼며, 열정과 자발성을 발휘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연구 모델을 만들었으며,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하여 전국 각지의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328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일 가치 변수 중 경제적 수입에 관한 관심을 나타내는 외재적 가치는 소명의식에 유의하지 않았으나 일에 대한 자부심 등을 나타내는 내재적인 가치는 소명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 지향성과 내재적 동기부여, 변혁적 리더십 또한 소명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면 조직 동일시는 소명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sing work value, intrinsic motivation, work centralit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o determine the antecedents of sense of calling. In this article, calling wa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work value, intrinsic motivation, work centralit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ere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attain the aim of this article, hypotheses were verified and a model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precedent studies. Data was collected from 328 employees from a variety of companies in Seoul, Gyeonggi-do and so on. SPSS 21.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hypothe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ride in work of work value, intrinsic motivation, work centralit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with calling as I expected. But, attitude toward earning of work value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did not show signification relationship with calling.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