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완도 지역의 친족어를 조사한 후 기존에 육지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확인된 접사와 다른 의미 기능을 가진 친족어 결합 접사를 추출하고 이접사들의 의미 기능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완도 지역을 지리적 위치에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고 지역적 특색을 나타낼 수 있는 지점인 조약도, 소안도, 청산도에서 현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 확인된 친족어 결합 접사로는 ‘꼬때-’, ‘노-’, ‘왕-’, ‘또-’, ‘늙은-’, ‘-님’, ‘-씨’ 등이 있다. ‘꼬때-’는 지역에 따라 증조부나 고조부 등을 부를 때사용하는데 점차 전남 육지 지역에서 유입된 ‘노-’, ‘왕-’으로 교체되어 없어지고 있는 접사이다. ‘또-’와 ‘늙은-’은 조약도에서 확인되는데 ‘꼬때-’와 비슷하게 증조부 이상을 부를 때 사용한다. 접사 ‘-님’과 ‘-씨’는 전남의 육지 지역보다 완도 지역에서는 더 다양한 형태와 의미 기능을 가지고 사용되고 있었다. 육지 지역과 인접한 조약도에서는‘-님’이 많이 쓰이는 반면 전남 신안 지역과 거리적으로 가까운 소안도에서는‘-씨’가 생산적으로 쓰이고 있다. 조약도의 ‘-니’가 [+친밀]을 극대화한 표현이라면 소안도에서는 ‘-씨’가 그러한 기능을 하고 있다. 청산도에서는 ‘-님’이 [+격식]의 의미를 나타내며 ‘-씨’는 어휘에 따라 [+친밀]을 강하게 드러내는 특징을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kinship words of Wando and extract the affixes that convey meaning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ffixes generally used in the mainland to clarify the semantics of those affixes. For this purpose, Wando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based on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local survey was implemented at Joyakdo, Soando, and Cheongsando that represent the localities. The affixes of language family of Wando included ‘Ggottae-’, ‘No-’, ‘Wang-’, ‘Tto-’, ‘Neulgeun-’, ‘-Nim’, and ‘-Ssi.’ ‘Ggottae-’ was used to refer to great-grandfather or great- great-grandfather in some regions, but it has been replaced with ‘No-’ or ‘Wang-’ transmitted from the Jeonnam region. ‘Tto-’ and ‘Neulgeun-’ are used in Joyakdo to refer to great-grandfather or higher, similar to ‘Ggottae-.’ The affixes ‘-Nim’ and ‘-Ssi’ are widely used in Jeonnam and they are used with more varied forms and meanings in Wando. In Joyakdo, which is relatively close to the mainland, ‘-Nim’ is widely used, but Soando, which is geographically closest to Sinan, Jeonnam, used ‘-Ssi’ constructively. Joyakdo's ‘-Ni’ maximized [+solidarity], but ‘-Ssi’ served the same purpose in Soando. In Cheongsando, ‘-Nim’ was used for [+formal] and ‘-Ssi’ strongly emphasized [+solidarity] for some 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