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대왕암 도시숲의 식생구조와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여 대왕암 도시숲의 생물종다양성을 보존하고, 향후 관리방안 확립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항목은 토양특성, 중요치, 종다양도, 연륜생장량과 절간생장량, 치수발생량 등이었다. 토양특성은 토양 pH 6.70~7.19의 약알카리성을 나타내어 토양산도 관리는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유기물(0.47~0.56%)과 전질소(0.47~0.56%)도 유효범위 내에 있거나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효인산 함량(10.08~22.82 ppm)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양용적밀도는 0.47~0.52g/cm3로 나타나 토양의 입단구조발달이 활발한 것으로 판단된다. 중요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상층에서는 곰솔, 중층에서는 왕벚나무, 하층에서는 주름조개풀과 억새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대왕암 도시숲은 전체적으로 층위별 출현종수도 적고 중층의 발달이 빈약하여 불안정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종다양도 지수는 상층에서 0.153~0.289, 중층 0.316~0.327, 하층 1.270~1.291로 분석되었으며, 상층과 중층의 균재도와 우점도는 각각 0.321~0.452, 0.548~0.679로 나타났다. 최대종다양도에 대한 종다양도의 값이 근접할수록 안정적인 구조인데, 본 조사지의 상층과 중층에서 종다양도와 최대종다양도 지수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대왕암 도시숲의 상층과 중층의 식생이 불안정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곰솔 성목의 평균연륜생장량은 혼효림 2.20 mm/yr, 곰솔 성목림 1.80 mm/yr, 해안가 곰솔림 1.60 mm/yr의 생장량을 보였으며, 평균연륜생장량에 대한 조사지별 변이계수는 혼효림 37%, 곰솔 성목림 56%, 해안가 곰솔림 65%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의 평균연륜생장량은 혼효림 1.60 mm/yr, 곰솔 성목림 1.56 mm/yr, 해안가 곰솔림 1.27 mm/yr로 모든 조사지에서 생장감소가 나타났고, 평균연륜생장량 대비 각각 27%, 13%, 21%의 생장감소율을 보였다. 곰솔 성목의 형상비는 혼효림 41.5, 곰솔 성목림 47.0, 해안가 곰솔림 46.6으로 대왕암 도시숲의 곰솔은 수목의 건전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곰솔 식재목의 절간생장량은 35.3~50.4cm의 범위에 있었으며, 천연갱신된 곰솔은 27cm의 절간생장량을 보였다. 치수발생량은 해안가에 위치한 곰솔림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lan by analyzing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aewangam urban forest. This study analyzed soil properties, importance value, species diversity, annual ringwidth increment, internodal growth and seedlinggenesis of P. thunbergii. The soil pH was 6.70~7.19 and the contents of OM, TN, available P were 6.76~8.85%, 0.47~0.56% and 10.08~22.82ppm, while the soil bulk density was 0.47~0.52g/cm3. According to the importance value analysis, P. thunbergii for upper layer, Prunus yedoensis for middle layer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 and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for lower layer were respectively high. The species diversity of Shannon ranged from 0.153 to 0.289 for upper later, 0.316 to 0.327 for middle layer and 1.270 to 1.291 for lower layer. The evenness and dominance for upper and middle at all sites ranged from 0.321 to 0.452 and 0.548 to 0.679. The average annual ringwidth increment of mature P. thunbergii was 2.20 mm/yr for mixed forest, 1.80 mm/yr for mature forest of P. thunbergii, and 1.60 mm/yr for P. thunbergii forest in seashore, and coefficient of variation(CV) was 37% for mixed forest, 56% for mature forest of P. thunbergii, and 65% for P. thunbergii forest in seashore. The average shape ratio of mature P. thunbergii was 41.5 for mixed forest, 47.0 mature forest of P. thunbergii and 46.6 for P. thunbergii forest in seashore. This indicates that P. thunbergii in Daewangam urban forest has high health. Internodal growth of planted and natural regenerated P. thunbergii ranged from 27 to 50.4cm, and the P. thunbergii forest in seashore showed the highest seedl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