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일반 보육교사와 장애아 보육교사의 교사 간 협력태도와 장애유아 참여행동을 증진하고자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장애아통합어린이집 통합반에 근무하고 있는 일반 보육교사 3명과 장애아 보육교사 3명, 이들이 담당하고 있는 장애유아 8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사전—사후 검사 설계로써, 교사지원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는 교사 참여도 및 교사 간 협력태도 점수와 장애유아 일과별 참여행동 시간의 양 변화 정도를 변인으로 하여 확인하였으며, 교사 참여도 분석은 과정목표 성취 실천 기록표 및 교사 간 상호 피드백, 연구자와의 피드백 평가 결과에서 산출한 점수를 변인으로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교사 간 협력태도와 장애유아 참여행동 총 지속시간의 회차별 변화에 대해서는 프리드만 검정(Friedman test)과 사후 분석(post-hoc analysis), 탐색적 자료 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으로 확인하였으며, 이외에 중재 충실도와 사회적 타당도도 확인하였다. 총 9회차로 진행된 교사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결과에서, 교사 참여도는 프로그램에 적극적 참여로 평가될 수준의 점수가 회차 동안 꾸준히 산출되었다. 양적 분석 결과에서, 교사 간 업무 협력과 정서적 상호지원은 회차 간에 차이를 보이는 유의한 증진을 보였고, 사후 분석 결과에서도 교사지원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국내에서 미비했던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 구성과 효과 검증을 일반 보육교사와 장애아 보육교사가 함께 참여하여 실시하였다는 점이며, 아울러 특수교육에 팀 학습행동 개념을 활용함으로써,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그에 대한 적합성을 확인한 연구라는 점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teacher support programs related to team learning behavior on teacher’s attitudes on collaboration & engagement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bjects were 3 regular childcare teachers & 3 special childcare teachers at inclusive settings, and their 8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or this study, pre & post test design was used looking for any possible changes in the degree of teachers’ participation, attitudes on collaboration scores among the teachers, & the amount of time engagement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or each routine. The descriptive statistics was used in data analysis. Using progress goals & configuration sheet, feedback among teachers, & the researchers employed degree of teachers’ participation. Friedman test, post-hoc analysis, exploratory data analysis & qualitative analysis were employed regarding teachers’ attitudes on collaboration & amount of time engagement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fidelity of treatment & social validity were measured. In result, the scores of teachers’ positive participating degree increased consistently.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work collaboration & emotional mutual supports among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for each session. This study is important in that not only engagement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measured but it also validated the effect of teacher support programs with both regular teachers & special teachers in inclusive settings. In addition, by using team learning behavior as part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applying organizational psychology on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shows a significance that it confirmed the suitability of collaborative teacher support programs for voluntary change of the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