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현수문전>의 몇몇 이본을 중심으로 한글 고소설 이본의 확산 경향과 그 의미를 살피고자 했다. <현수문전>의 몇몇 이본은 결말을 비롯한 후반부 서사에 있어 원작의 서사로 추정되는 선본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일반적인 고소설 이본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독특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현수문전> 이본 간에 나타나는 서사적 차이는 ‘왕조교체 사건’과 ‘신천자 및 현수문의 인물설정’의 차이에서 기인하고 있었다. 다시 말해, 이본에 따라 왕조교체의 양상과 유무, 그리고 신천자 및 현수문의 인물형상이 차이를 보이고 있었던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서사 변개의 배경을 창작시기로 추정되는 19세기의 화이관과 영웅소설의 주인공에 대한 독자들의 기대심리에서 찾았다. 즉, 이민족에 의한 연속적인 왕조교체를 천명으로 보고, 무도한 송나라 천자와 그에 대항하는 현수문이 등장하는 선본 서사에 대한 독자들의 이의제기가 상이한 서사를 보이는 이본 생성을 추동했다고 본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현수문전>과 그 이본들이 독자 비평의 적극적인 표출을 보여준다는 점과 하나의 작품에서 조선후기의 다양한 정치 ․ 사상사적 문제의식들을 살펴볼 수 있게 한다는 점에 소설사적 의의를 부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diffusion tendency of different versions of old Korean novels and its meaning focusing on different versions (異本) of “Hyeonsumunjeon.” Some versions of “Hyeonsumunjeon” show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 second half including conclusion from Good Version (Seonbon‐善本) which is thought to be the original version. This aspect is very unique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different versions of general old novels. Additionally, differences in narration among different versions of “Hyeonsumunjeon” resulted from difference in ‘Change of Dynasty Event,’ and ‘Character Setting for New Emperor and Hyeonsumun.’ In other words, different versions show different aspects of change of dynasty and characters of New Emperor and Hyeonsumun even whether dynasty change existed or not. This article interprets the backgrounds of narration change in “China Centric View [Hwaigwan]” in the 19th century and psychology of expectation of readers on the hero in the heroic novel. In other words, objections of readers to the Seonbon, which considered constant changes of dynasties by foreign intruders (夷狄) as fate (天命) and Hyeonsumun appeared to object against wicked Emperor of Song, gave an impetus to creation of different versions. Accordingly, this article found this phenomenon meaningful in that different versions of “Hyeonsumunjeon” are “Active Representations of Readers’ Criticism” and contemporary novel reading showed “interactive culture rather than one‐sided accommo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