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뉴허량 유적에서 발견된 천공옥기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당시 동북아시아 원시종교 후기 샤머니즘(Shamaism) 사회 구조 변화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 옥기 사용인의 신분과 옥기사용방법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천공옥기는 수작업이나 도구(활비비)를 사용해서 옥기 동체부에 천공된 구멍이 한 개 이상 보이는 옥기다. 뉴허량 유적 사회의 옥기 특징을 분석 방법으로 첫째 당시 사회구조 안에서 제작된, 옥기의 기능 변화 현상을 파악하고 그것에 영향을 준 중요한 역할 변수인 당시의 정신문화와의 관계를 비교분석한다. 둘째 뉴허량 유적에서 발견된 옥기의 대부분은 기종에 따라 구멍의 뚫린 위치와 크기가 차이가 있지만 구멍 흔적이 한 개 이상 보인다. 옥기 사회구조 안에서 제작된 옥기의 대표적인 외형적 특징은 당시 사용인과 정신문화의 관계를 알 수 있는 중요한 행위의 결과물이다. 셋째 뉴허량 유적 옥기의 상징 관념을 분석결과 신기(神器)-법기(法器)-예기(禮器)로의 옥기 기능변화과정은 제작기술의 발전에 의한 사용기능과 방법의 변화의 시간적 차이와 함께 당시 옥기사용인들인 샤먼(女巫)의 전문직종교인(巫覡)과 사제(司祭)로의 사회적 신분의 변화를 보여준다. 다양한 민족 집단이 주거목적이 아닌 일시거주를 반복한 뉴허량 유적의 경우 샤먼의 사회 신분과 역할의 변화는 시간의 차이로 단정하기 어렵다. 중국의 여러 민족 집단에 각기 다른 영향력을 행사하며 존재한 샤먼들의 의례행위 방법과 사회적 위치는 서로 다르다. 중국 동북의 각 부족들 사이에 존재하는 샤먼 숫자의 차이는 이를 증명한다. 동북아시아 원시종교 후기 샤머니즘의 특징인 자연숭배(동・식물숭배)와 토템숭배는 중국 동북 신석기시대 후기(BC 3300-3000) 뉴허량 유적 사회구조 변화의 중요한 역할 변수다. 뉴허량 유적에서 발견된 다양한 의례행위의 흔적과 옥기부장품들은 샤먼이 영향력을 행사한 사회구조의 실체와 함께 그들이 제작하고 관리한 옥기의 사용방법과 목적에 차이가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us of perforated jade and the using of jade a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social structure of Shamanism in the later period of Northeast Asia. perforated jade is a jade with one or more perforated holes in the jade parts by using handmade tool. The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de societ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of the function of the jade produced in the social structure at the time and the relation with the mental culture at that time. Secondly, most of the jade found in the site of the Nuheliang shows more than one hole mark, although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hole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odel.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perforated jade made in the jade society structure are the result of important activities that can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mental culture at that time. Third, when analyzing the notion of symbolism of the site of the Nuheliang, the process of changing the function of singi(神器)-Magic tool(法器)-yegi(禮器) is considered to be based on the temporal difference. It shows the change of social status as a professional religious religionist(shaman) and priest of the shamans who were jade users at the time. In the case of the site where the various ethnic groups do not reside for the purpose of housing but rather reside temporarily, it is hard to conclude that the change of social status and role is a time difference. There are different ways of ritual practices and social positions of the existing shamans who exert different influences on various ethnic groups in China.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hamans between the tribes of northeastern China proves this. Nature worship(tombs and plant worship) and totem worship,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the later religions of Northeast Asia primitive religions, are important role factors in the change of social structure in the late Northeast China Neolithic Age(BC3300-3000). The traces of various ritual activities found in the site of the Nuheliang jade items indicate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ity of the social structure in which the shamans exercise influence and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jade they produced and manag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