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 교육에 대해 기업의 기대수준과 피교육자의 역량수준, 교육자의 기대수준과피교육자의 만족수준간의 불일치 현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본 연구는 이러한 불일치의 원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회계학분야와 경영학 분야의 미스매치현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영학 교육에 대한 기업체의 피교육자에 대한 기대수준과 인식수준의 차이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불일치 현상은 회계전공뿐만 아니라 비회계전공에서도 동일한 것으로 분석된다. 기업의 피교육자에 대한 전공역량과 직무 기초역량에 대한 기대수준과 인식수준도전공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많은 부분 불일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전공역량과직무기초역량에 대한 교육자의 기대수준과 피교육자의 만족수준 간에도 불일치현상이 나타나고있음을 관측할 수 있다. 즉, 기업체, 교육자, 피교육자간의 기대수준, 인식수준, 만족수준 상호간에 심각한 불일치 현상이 관측되며, 이런 현상은 전공과 무관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학교 평가, 국책사업신청, 교원의 업적평가 등에는 피교육자의취업률이 중요한 지표로 간주되고 있는 바, 피교육자의 취업률 또는 유지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체의 기대수준을 충족시키고 피교육자의 만족수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학교 교육의 질적 개선이 절실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피교육자의 교육만족 수준을 높이기 위한 전공별 적절한 교육방법 개발과 개선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According to the recent report, mismatch problems in the accounting and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s job capacity are serious. These mismatches are means that a gap of firms’ expectation level for graduate students’ job capacity or basic ability, and a gap of teachers’ expectation level for graduate students’ understanding and students’ satisfaction level. So,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ismatch problem and its factor.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test the gap between firms’ expectation and the capacity level of graduate students and between teachers’ expectation level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graduate students. For the analysis,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m recently adopted employees in related departments and managers in those departments or personnel department. Point of these questionnaires are measured by 5 point Likert scale. Thes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ggest that graduate students’ job capacity is not sufficient to satisfy firms’ expectation level and these phenomenon is more serious in business administration course than in accounting course. And it was founded that there are a gap between teachers’ expectation level and graduat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and these phenomenon is serious all in business administration course and in accounting course. So, these result suggest that current university education needs improvement to match the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