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19세기 독일 역사주의와 미국 문화인류학의 토대를 정립한 인류학자인 프란츠 보아스의 연구방법 사이의 연속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세기 독일 역사주의는 그 내적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전체와 부분의 체계를 논리적 기반으로 삼고 있다는 점, 개체의 다양성을 주장하며 현실은 역사적으로만 이해될 수 있다는 주장, 그리고 역사는 유의미한 과정이고 그 속에는 형이상학적인 실체가 전제되어 있다는 가정을 공유하고 있다. 프란츠 보아스는 독일에서 미국으로 이주하기 전까지 이러한 학풍으로부터 크게 영향을 받았고, 이런 학문적 지향은 미국 문화인류학의 방향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프란츠 보아스는 19세기 독일 역사주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20세기 초까지 인류학에서 풍미하던 진화론적 접근을 비판했다. 그러나 역사주의적 전통의 관념론적 경향 때문에, 보아스는 문화를 외부적 요인을 여과하는 집단심리적 실체로 간주함으로써, 역사적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실행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문화인류학적 접근을 통해 역사적 변형(變形)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문화체계의 변형 가능성이 내포된 방식으로 문화 개념을 재정의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erman historicism in the 19th century and the historical method of Franz Boas, who is the founder of cultural anthropology in the United States. Despite diversities within German historicism, it shares the following aspects: it is based upon the logics of partiality and totality; it regards life as a historical product; it presupposes a metaphysical reality through which history becomes meaningful. Since Boas had been trained in this academic tradition before he migrated from Germany to the United States, his ways of thinking shaped the foundation and direction of cultural anthropology which just started to become one of the modern academic disciplines in the early 20th century. Particularly, influenced by this intellectual tradition, he criticized evolutionism, which was the dominant approach to history in anthropology at that time. At the same time, as the researchers in the German historicism did, so he regarded culture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through which external influences were filtered. As a result, he could not fully examine historical processes. Thus, this paper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at an anthropological analysis of history may become static if the concept of culture does not allow the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s in cultura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