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이혼을 위협으로 하는 교섭모델로 노동력참가를 포함하는 가구내 시간배분 의사결정을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즉 노동력참가는 이혼이라는 위협점을 지렛대로 부부간의 시간에 관한 협상을 통해 결정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분석한다. 이를 위해 내쉬의 협력적협상모델과 내쉬의 모델을 확장한 오트의 이론을 적용한다. 연구를 위해 노동패널 데이터를 활용했다. 노동시장참가 결정요인분석에서 이혼을 위협으로 하는 갈등보수가 포함된 모델은 전반적으로 유의도가 높아져 노동시장참여 결정요인의 분석에서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추정값은 남녀 모두 유의한 양의 부호를 나타냈다. 이는 이혼과 노동시장 참여가 양의 관계임을 함의한다. 그 계수값의 크기는 여성이 남성보다 상당히 높아서 이혼의 위협은 여성으로 하여금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큰 원인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paper constitutes an empirical study of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which is to be viewed as an outcome of intra-family bargaining on time allocation. Given the increasing rate of divorce in Korea, it is suspected that the option of divorce should have some impact upon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through the intra-family bargaining. In this regard implications shall be drawn from Nash’s bargaining theory before the empirical models are built and estimated. The data are obtained from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This study thus suggests that the ‘conflict payoff’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upon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for men and women. It is also interesting to find that the effect is greater for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