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특성에 따라 회계전공 대학생의 교육성과 및 전공몰입에 유의한 차이가있는지를 분석하고, 교육성과가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및 전공몰입이 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전공몰입이 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긍정심리자본이 조절효과를 보이는가를 분석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부산・경남지역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교의 전산세무회계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회계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회수된 165부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한글 SPSSWIN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 수강목적, 컴퓨터 활용능력, 자격증 등급은 교육성과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격증 등급은 전공몰입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성과는 전공몰입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공몰입은 취업의지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긍정심리자본은 전공몰입이 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공헌은 개인특성에 따른 교육성과 및 전공몰입에 대한 회계전공 대학생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대학교육정책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고, 전공몰입을 통해서 어느 정도 취업률을높일 수 있음을 직접적으로 보여 주고 있으며, 또한 개인의 긍정적인 마인드가 취업률제고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outcomes and major commitment of undergraduate accounting student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effects of educational outcome on major commitment and major commitment on work volition.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how major commitment affects employment volition.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WIN 23.0, and AMOS 23.0 was used for analyzing 165 copies of the survey collected from undergraduate accounting students who take computerized tax-accounting classes at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educational outcomes by grade, the purpose of taking the class, computer competency, and certification level.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major commitment by certification level. Third, educational outcom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ajor commitment. Fourth, major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volition. Fif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moderate the effect of major commitment on employment voli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by being utilized as key reference data for devising tertiary education policies based on how undergraduate accounting students perceive educational outcome and major commitment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findings reveal that major commitment increases the employment rate to a certain degree, and the positive mindset of individuals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mployment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