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한국어에서 소위 역문법화라고 불린 현상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논의에서 역문법화로 보았던 예들의 대부분은 역문법화라고 불릴 수 없음이 논의된다. 자립성을 얻은 것으로 보이는 예들의 변화 양상도 문법성의 변화, 구문 내에서의 변화, 점진적 변화 등의 자질을 결여하고 있어 문법화와는 변화의 성격이 다르다. 그러나 변화의 원리 측면에서는 유사성의 확인과 재분석에 의해 일어났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러한 공통점은 스키마 전이와 스키마 확장으로 포착된다. 두 변화가 보이는 양상의 차이는 문법화가 의미 변화로부터 시작된 것인데 반해, 역문법화는 해당 요소가 본래 가지고 있던 어휘성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에 기인한 것이다.


The present paper aims at re-examining the "degrammaticalization" in Korean. I argue that most of the examples that the previous studies claimed cannot be the legitimate examples of degrammaticalization. The examples which alleged to have become the free morphemes do not share the characteristics of grammaticalization in that they lack the defining features of grammaticalization such as the change in grammaticality, construction-internal change and the gradualness of the change. However, they have in common with the mechanisms of the change - analogy and reanalysis. This can be captured by the Schema Transfer and the Schema Extension. The difference in direction lies in the fact that whereas the procedural meaning obtained by the semantic change causes the grammaticalization, the inherent contentful meaning brings about the degrammatic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