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필자는 본 논문에서 미소지니의 어원학적 정의방식과 이 개념의 철학적, 형이상학적 함의를 고찰할 것이다. 나아가 이것의 사회, 문화적 개념화 작업을 현 사회의 맥락 안에서 재정의해 나가며 이것이 여성멸시와 여성비하로 번역되는 것이 왜 부적합한가를 논증할 것이다. 두 번째로 여성들이 어떠한 감각판 위에서 고질화된 폭력의 지반으로서의 일상을 경험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폭력의 현상학을 도입해 볼 것이다. 이를 통해 남성혐오가 아닌 남성공포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여성의 일상 재편방식을 폭로함과 동시에 사회적 죽음과 생물학적 죽음의 두 죽음 사이에 가로놓인 여성의 경험을 통감의 윤리학을 통해 조망해 낼 것이다. 여기서 필자는 공감(empathy)과는 다른 "통감"에 대한 개념화 작업을 심화하며 이 개념이 어떻게 통찰과 저항, 연대의 경로가 될 수 있는가를 분석해 낼 것이다. 세 번째로 혐오라는 감정의 광활한 스펙트럼을 횡단하며 이것이 의식적, 무의식적 억압기제이자 비대칭적 힘의 구조로부터 기인된 권력 감정임을 논증하고자 혐오와 분노라는 두 가지 감정역학의 차이를 세밀하게 개념화할 것이다. 나아가 여성혐오살해의 메커니즘의 작동방식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남성혐오의 불가능성을 철저히 논증할 것이다.


I try to develop the etymological analysis of the concept of misogyny that has philosophical and metaphysical dimension. In addition, I will situate this controversial concept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to show how this concept has a complex dimension that could not be reduced to defiance of the woman. Second, the phenomenology of violence to which women are exposed daily, will be the object of analysis. It would contribute to show that the internalization of horror against men is a major factor to structure and limit women's daily lives. This structuration of women's life is to minimize the risk of death in both symbolic and biological. Because women are between these two deaths that hinder the freedom to act and think, to move. I try to forge a concept of Immersio-pathy which consists in the fact of intense and overwhelmed feeling that is pierced by the pain of others. The notion of Immersio-pathy is a compound word of Immersio and patior in Latin. It is by this notion of Immersio-pathy that I will try to develop the possibility of the modality of resistance. Third, the concept of hatred will be meticulously addressed in contrast to the notion of indignation. I will develop an argument on mechanism of femicide and the impossibility of misand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