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탈형이상학 시대의 윤리학적 위기에서 새로운 대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고전 형이상학은 실천적 삶에 강한 구속력을 보임으로써 오랜 기간 윤리적 처방으로서 구실할 수 있었다. 이는 존재론적 원리와 규범적 실천원리를 합일하여 윤리성의 원천을 절대자의 이념에 두었던 덕분이다. 그러나 고전 형이상학은 절대자 인식 요구, 자유 상실, 타인관계의 도덕성 문제에 부딪쳐 몰락할 수밖에 없었다. 대안으로서 하이데거의 존재사유는 존재론적 원리와 규범적 실천원리를 새로운 방식으로 합일하여 고전 형이상학의 강점을 보존하면서도, 존재는 절대자가 아니기 때문에 칸트적 형이상학 비판에 걸려들지 않을뿐더러 인간의 근원적 자유를 보장한다. 다만 타인관계의 도덕성 문제가 남는데, 이는 공동체 건립 행위를 인간 본질 실현의 근본방식으로 간주하는 재해석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보인다.


It is required to find a solution to an ethical crisis in the post-metaphysical era. Classical metaphysics exerted strong binding force to practical life resulting from the unification of ontological principle and normative principle. Its legitimacy collapsed, however, due to the claim for knowledge of the Absolute, the loss of freedom and the problem with morality for others. Heidegger's thought of Being retains binding force, for its ethical source is 'Being', upon which human being must depend, but in a manner that it avoids Kant's critique of metaphysics and allows originary freedom. The remaining problem with morality can be solved by a reinterpretation which regards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ty as a fundamental way to human ess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