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지금껏 영웅소설 연구에서 크게 주목한 바 없는 <설홍전>의 소설사적 위치를 규정할 필요성에서, 작품에 나타난 변신의 양상을 고찰하고 양상별 의미와 기능에 대해 한번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설홍전>에는 탈갑과 둔갑이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의 갈등과 맞물려 나름의 의미망을 보여주는데, 탈갑은 우선 1차 탈갑에서 현실적 주체(계모)에 의한 현실적 공간에서의 탈갑, 문화적 ‘인간-동물’로의 변화, 자아의 시선(인간 인식)과 타자의 시선(짐승 인식) 차이에서 오는 갈등 등을 특징으로 보여준다면 2차 탈갑에서는 초월적 존재(노승)에 의한 초월적 공간에서의 탈갑, 문화적 ‘동물-인간’으로의 변화, 자아의 시선(인간 인식)과 이에 동조하는 타자(조력자)의 시선 간의 조화 등을 특징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두 차례의 탈갑 과정에서 주인공은 영웅의 지위와 능력을 상실했다가 이를 회복하기도 하고, 인간의 잔학상과 타락상을 반영하기도 하며, 귀족 신분에 대한 근원적 부정 의식과 시민 계급에 대한 경종 등도 함께 보여주는 등 나름의 사회문화사적 의미를 드러낸다. 한편, 둔갑은 주인공과 적대자 모두에게서 발견되는데, 개인적 차원의 갈등 속에서는 결연을 방해하는 인물을 처단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차원의 갈등 속에서는 영웅적 과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며, 갈등의 강도가 첨예할수록 둔갑의 강도도 강화되는 특징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둔갑은 주노 갈등, 체제변혁을 꾀하는 민중과의 갈등, 국가 정복을 노리는 타국과의 갈등 등 실제 사회사적 문제들을 뒤로 하게 만들고, 오히려 남주인공의 영웅적 활약상을 부각시키는 장치로서만 제시된 아쉬움은 있지만, 변신 주체들의 잠재된 욕망을 드러내는 수단으로써 초월성에 대한 욕망, 일상의 파괴와 탈 일상을 향한 희구, 환상성의 극대화, 그로 인한 놀이 충동과 흥미 고조 등 다양한 문화사적 의미를 함의하고 있기도 하다. 이처럼 <설홍전>에서 발견되는 변신의 편린들은 작품을 구성하는 일부이긴 하지만, 작품의 소설사적 관심을 환기시키고, 아울러 ‘변신’에 대한 긍정, 부정의 이중적 의미를 밝혀낼 또 하나의 자료가 되기도 한다는 점에서 서사 문학사적 흐름 속에서 주목된다.


<Seolhongjeon> is one of the heroic novels in late Choseon Dynasty but has not paid much attention to the study of classical heroic novels so far in spite of its significance. In the necessity to redefine the position of this novel, this paper researched about characteristics of the metamorphosis and its literary significance in <Seolhongjeo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are two types of metamorphosis in this novel, Talgab and Dungab. Talgab is a type of metamorphosis regardless of the subject’s will and Dungab is another type of metamorphosis by the subject’s will. These two have characteristics with being associated with personal conflicts and social conflicts. Talgab happens twice in the text. The first one has features such as ‘metamorphosis in real world by realistic being(stepmother)’, ‘change cultural human into cultural animal’, ‘conflicts between self-gaze(recognizing the protagonist himself as a human) and the other’s gaze(recognizing the protagonist as an animal)’. The second one has features such as ‘metamorphosis in unreal world by unrealistic being(old man)’, ‘change cultural animal into cultural human’, ‘harmony between self-gaze and the other’s gaze’. In these two steps, this novel reveals the meaning of its social and cultural history such as ‘lost and recovery of the protagonist’s heroic status and ability’, ‘reflection of the atrocities and corruption of the human being’, ‘A fundamental denial of nobility and a warning to the civil class’ etc. On the other hand, Dungab is found from both the protagonist and the antagonist. The stronger the intensity of the conflict between two, the stronger the strength of the Dungab can be seen as well. These Dungab tend to put back real social problems such as ‘Conflict between the master and the novice’, ‘conflict with the people who try to transform the system’, ‘conflict with other countries aiming at conquering the state’. Rather, it is presented only as a device to highlight the protagonist’s heroic work. However, it has the meaning of its social and cultural history such as ‘the desire for transcendence by revealing the latent desires’, ‘the destruction of everyday life and wishes to get out of everyday life’, ‘maximizing fantasy’, ‘impulse for playfulness and increasing of novelistic fun’, etc. Metamorphosis in <Seolhongjeon> are meaningful as a foundation work to reveal aspects of metamorphosis in the history of narrative literature and as a material to reveal the dual meanings of positivity and negativity about metamorphosis although it is only partial in this no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