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집중력, 작업기억 및 치료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인천에 소재한 I병원에 입원 중인 18명의 뇌졸중 환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18명의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9명씩 무작위 배정되었다. 두 그룹의 대상자들은 모두 전통적 인지치료(작업치료)를 4주간 주 5회, 1일 30분씩 수행하였다. 실험군은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을 30분씩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평가는 중재 전과 후에 선추적 검사, 스트룹 검사(A와 B), 숫자 외우기(바로와 거꾸로), MVPT-3의 시각기억을 사용하여 집중력, 작업기억을 측정하였으며, 중재 후에 치료 선호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각적 수치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은 중재 전과 후로 선추적 검사, 스트룹 검사, 숫자 외우기, 시각기억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대조군은 중재 전과 후로 선추적 검사, 스트룹 검사 A, 시각기억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두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선추적 검사와 시각기억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치료 선호도 비교에서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인지치료 프로그램과 전통적 인지치료(작업치료)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군의 중재를 받은 65세 미만의 대상자들은 65세 이상의 대상자들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치료 선호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통적 인지치료(작업치료)만 수행하는 것보다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을 함께 했을 때, 뇌졸중 환자의 집중력과 시각기억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추후에는 나이에 따른 스마트 기기 인지훈련 프로그램의 비교분석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gnitive treatment program using smart device applications on attention, working memory, and treatment preference in patients with stroke. A total of 18 inpatients, at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Incheon were recruited and randomized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ubjects from both the groups received traditional cognitive treatments for 30 min/day and 5 times/week, for 4 weeks.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a cognitive treatment program using smart device applications for 30 min/day. The outcome measures included the trail making test (TMT), Stroop test (ST), digit span test (DST), visual memory (VM) of the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MVPT-3), for attention and, working memory, and the visual analog scale (VAS) for treatment preference after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TMT, ST (A & B), DST, and VM scores after intervention.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TMT, ST(A), and VM scores after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s in the TMT, and VM scores after intervention than the control group. The treatment prefere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However, older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reatment preferenc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our results suggest that cognitive treatment programs using smart device applications can improve in attention and visual memory in patients with stroke. Further studies must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ch cognitive treatment programs, according to age of th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