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금까지 성호 이익(星湖 李瀷, 1681~1763)의 심설은 그 다층성 때문에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선행연구 대부분은 성호 심설의 다층성이 삼혼설의 영향 하에 출현했다고 보고 심설과 삼혼설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데 관심을 집중한 반면, 순자설의 수용 문제는 상대적으로 간략하게 다루었다. 하지만 성호의 심설 관련 저작을 검토해보면 그는 심학적 관점에서 순자설을 수차례에 걸쳐 재해석하며 자기만의 예외적이고 독특한 심설을 구성해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동시대 지식인들이 순자설을 삼혼설의 대응논리로 이해하고 삼혼설과 더불어 유학의 아류 혹은 비정통 학설로 평가한 것과 달리, 성호는 그것을 긍정적으로 수용하여 이전에 보기 드문 심설을 구성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순자설이 심설에 기여한 공헌이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순자설의 개념과 논리가 성호의 심학적 설계 안에 재편되는 경과를 구체적으로 추적하는 연구가 없었다. 본고는 기존 연구에서 미처 주목하지 않았던 이 문제를 풀어보는 데 관심을 집중했고, 성호의 심설은 그가 순자설의 개념과 논리를 거듭 분석하면서 형성되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특히 『성호선생문집』에 실려 있는 「심설」은 성호가 만년에 정립한 학설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심설에 관한 저작 중 이론적으로 가장 완비된 형태를 보여주었다. 이로 볼 때 성호의 심설은 순자설을 성리학 전통 속에서 정교하게 변용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본고는 성호 심설의 형성에 기여한 핵심 주장이 심학적으로 변용된 순자설이라는 결론을 도출했음에도 불구하고, 삼혼설 역시 성호 심설에 유의미한 개념과 논리를 제공했을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다고 보았다. 성호는 순자설과 삼혼설이 이론적으로 일치한다는 사실을 강조했으며, 그의 심설은 실제로 개념적・구조적 측면에서 삼혼설의 주장과 상당부분 중첩되기 때문이다. 삼혼설의 개념과 구성논리가 순자설과 더불어 성호의 심설과 상당한 유사성을 드러내고 있다면, 외래 지식이 성호의 심학에 반영되었을 가능성 또한 열어둘 수 있을 것이다.


Seongho Yi Yik’s theory of mind-heart has been noted for its multiple-layered characteristic among scholars in the field. This theory has been often considered to have emerged out of the conventional neo-Confucian debates, or interpreted in association with other theories such as Xunzi’s theory and the three divisions of soul theory (tres anime, or Kr. samhonseol 三魂說) of Western Learning. This research mostly agrees with the fact that the Xunzi’s theory was a quintessential source in constructing Yi Yik’s multiple-layered mind-heart theory. Yet there has not been a single research that traced specifically how these concepts and theories could have been integrated into Yi Yik’s mind-heart theory.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at very subject matter which has been somewhat neglected by the exiting scholarship and concluded that Yi Yik has perfected his mind-heart theory after a series of thorough analysis of Xunzi’s theory. In particular, the theory of heart-mind elaborated in Collection of Writings by Mr. Seongho (Seongho seonsaeng munjip 星湖先生文集) exhibits a highest degree of Yi’s theoretical sophistication that it presumably was established during his late years. From this, one can confer that Yi’s mind-heart theory was created through a careful reinterpretation and adaptation of Xunzi’s theory through the lens of neo-Confucian concepts and logics. However, it is still possible that the three-divisions-of-soul theory may have had some influence in the formation of Yi’s mind-heart theory. Yi asserted that the three divisions of soul theory was theoretically consistent with Xunzi’s theory, and his mind-heart theory does significantly overlap with the former in its conceptual construction. Therefore, if Yi’s theory shows considerable similarities to the concept and construction of the three-divisions of soul theory and Xunzi’s theory, this indicates probable influence of foreign ideas on Yi’s mind-heart theory. Nevertheless, the limitation of existing documental evidence makes it difficult to prove the influence of the three-divisions of soul theory on Yi’s mind-heart theory. Therefore, while the influence of the three-divisions of soul theory on Yi Yik’s mind-heart theory is probably yet unverified, it is irrefutable to say that the fundamental point of Yi’s theory came out of his adaptation of Xunzi’s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