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찰즈. S. 퍼스의 기호학적 담론을 방법론으로 박태원의 『임진조국전쟁』과 김훈의 『칼의 노래』의 서사구조를 구체적으로 비교ㆍ분석해보았다. 『임진조국전쟁』은 일차성의 대상의 성질을, 역사적 경험이라는 이차성의 사실로 인식하는 태도를 보이며, 주체와 대상의 관계를 통해 ‘대결’, 즉 작용과 반작용이라는 투박한 힘의 범주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임진조국전쟁』에서 작가가 가장 염두에 둔 것은 이순신의 지략을 통해 백성들의 역량과 투쟁의 힘의 결집을 도모하여, 봉건적 모순과 나라 전체가 외세에 의해 도륙 당하는 부조리한 현상을 척결하려는 것이다. 진린의 문제에 있어서도 『임진조국전쟁』은 『리순신 장군 이야기』의 명나라 군대 묘사를 그대로 이어간다. 명나라 군대와 조선군대와의 갈등은 묘사되고 있지 않으며, 노량해전에서 이순신은 진린제독이 타고 있는 명나라 대장선이 왜선에 포위되는 것을 구하려다 왜선에서 날아온 총탄을 맞고 전사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이에 반해 『칼의 노래』는 명나라 군대의 부패함과 왜군과의 강화교섭에만 매달리지 지원군으로써 왜군과의 싸움에 적극성을 보이지 않는 명나라 유정의 육군과 진린의 수군에 대해 반감을 보이는 비판적인 시각을 일관되게 견지한다. 하지만 『칼의 노래』의 작가 김훈은 이순신의 민족 영웅이나 구국영웅이라는 이미지 묘사에는 인색하고 다만 1인칭 시점의 입장에서 이순신의 한 개별자로서의 고뇌와 내적인 아픔을 모순어법을 통해 진솔하게 표현한다. 특히 김훈은 삼차성의 ‘중개’에 집요한 관심을 보인다. 이순신이라는 1인칭 화자를 내세우지만, 실제 『칼의 노래』를 살펴보면 직접적인 감정토로는 철저하게 자제하고 매개물(중개)을 통한 간접적인 묘사에만 치중하고 있다. 박태원의 『임진조국전쟁』은 자신이 처한 정치적 사회적 환경 속에서 역사를 재해석함으로써 이순신이란 기호에 일정한 관념을 단순하게 지시하거나 입히게 구성한다. 그에 비해 『칼의 노래』는 기호가 누군가에게 호소한다. 다시 말해, 그 사람의 정신 속에서 동등한 가치를 갖는 기호, 또는 더 발전된 기호를 창조한다. 그러한 관계를 퍼스는 기호의 ‘해석체’라고 명명했으며, 그러한 기호의 음직임을 ‘상징’이라고 설명했다. 김훈은 역사라는 토대에서 이순신서사를 꺼내어 새로운 정신적 가치를 찾아내고 모호성과 불확정성을 입혀 허무의지를 드러낸다.


Based on semiotic discourse by Charles S. Peirce, Park, Taewon’s 『Imjin Japanese Invasion』 and Kim, Hun’s 『Song of Sword』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terms of narrative structure. 『Imjin Japanese Invasion』 shows attitude that recognize primary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s the secondary fact which is historical experience. It tells the story through range of uncouth power which is action and reaction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 and subject. In 『Imjin Japanese Invasion』, the primary concern of the writer is to eradicate phenomenon of absurdity by uniting the capabilities and power of the people and Lee Sunsin’s cleverness, where feudal contradiction is prevalent and whole nation being slaughtered by foreign power. In terms of the problems of Jinlin, 『Imjin Japanese Invasion』 continues the description of Ming troops contained in 『Story of the General, Lee, Sunsin』. There is no description of the conflicts between Ming tropps and Joseon troops and the story is finished with Lee, Sunsin’s death when he was shot by a bullet from Japanese vessels while attempting to save Admiral Jinlin from being besieged by Japanese vessels. On the other hand, 『Song of Sword』 consistently adheres to critical perspective towards Ming army troops led by Yoo, Jeong and Ming naval forces led by Jinlin since they focus only on negotiating peace pact with Japanese forces and do not show initiative in the battle. However, the writer of 『Song of Sowrd』, Kim, Hun did not use much expression to describe Lee, Sunsin as a folk hero or national hero saving the country. By first person narrative, he used genuine expressions on the agony and internal pain suffered by Lee, Sunsin as an individual. Especially, Kim, Hun shows consistent interests on ‘Mediation’ of the tertiary features. Even though first person narrator, Lee, Sun-sin stands in the front, detailed analysis of 『Song of Sword』 shows that it strictly refrains from direct outburst of feelings but focus on indirect description through intermediates(mediation). In Park, Taewon’s 『Imjin Japanese Invasion』, he reinterprets the history within the context of the political and social environment in order to simply relate certain concepts with a semiotic sign, Lee, Sun-sin. On the contrary, in 『Song of Sword』 the sign appeals to another. In other words, in the mind of the person, a sign with identical values or even more developed sign is being created. Pierce named these relationship as ‘Interpretant’ of the signs and the movement of the signs is named ‘Symbol’. Kim, Hun brings narration of Lee, Sunsin under historical foundation, in order to identify new spiritual values and demonstrate sense of futility by adding ambiguity and uncertain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