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모바일 기반의 대인간 커뮤니케이션에서 유발되는 피로감의 형성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용자가 카카오톡의 매체적 특징을 인지하는 정도와 이용자 개인이 가진 사회심리적 성향이피로감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탐색했다. 이를 위해 카카오톡이용자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카카오톡 이용자들의 사회심리적 특성으로서의 신경증(neuroticism)과 외로움(loneliness)의 성향이 강할수록 사람들은 카카오톡을 이용하는데 피로감을 더 잘 느끼며, 이러한 피로감은 궁극적으로 카카오톡이용빈도를 줄이게 한다. 둘째, 신경증과 외로움이 높은 이용자들 중 특히 카카오톡의 매체풍부성을 높게 인지하는 이용자들은 피로감을 더 잘 느끼며, 이를 통해 사회심리적 경향성이 카카오톡 이용에서 피로감을 느끼게 하는 데 있어 인지된 카카오톡의 매체풍부성이 조절효과를 발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조절효과가 카카오톡 피로감을 매개로 하여 궁극적으로 카카오톡 이용빈도를 줄이는 데 영향을 주는지를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을 통해 파악했다. 그 결과 신경증과 카카오톡 매체풍부성간의 조절효과는 카카오톡 피로감을 매개로 하여 카카오톡 이용빈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매개된 조절효과가 있었으나, 외로움의 경우에는 매개된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This research tries to figure out why people feel fatigue while communicating via Kakao Talk,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mobile instant messengers among Koreans. Specifically, this research explores how users’ social psychological factors(neuroticism and loneliness) and their perception about KakaoTalk’s richness(perceived media richness) influence fatigue while using Kakao Talk. A total of 220 people, mostly consitst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as recruited for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neuroticism and loneliness have positive effects on fatigue while using Kakao Talk, which leads them to use KakaoTalk less frequently. Seconldy, when neurotic or lonely people perceive a high level of media richness from KakaoTalk, they feel more fatigue. Lastly, we figured out that interaction between neuroticism and percieved media richness of KakaoTalk affects frequency of KakaoTalk use when mediated by KakaoTalk fatigue, however interaction effect between loneliness and perceived media richness of KakaoTalk does n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