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30개 시, 군, 구를 기준으로 2012년 고등학교 경제 과목의 개설 학교 수와 선택 학생 수를 이용해 최근 고등학교 경제교육의 부진이나 후퇴의 원인으로 고등학교 경제교육의 지역적 편차를 분석 제시하고, 그 요인을 공간계량경제모형에 의한 추정 방법으로 탐색하였다. 주요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고등학교에서 사회탐구의 선택 과목으로 경제를 개설한 학교와 경제를 선택한 학생은 서울, 경기 등 수도권의 시, 군, 구에 집중되어 있었다. 둘째, 17개 시ㆍ도를 기준으로 지역 내 학년별 개설 학교 수와 성별 선택 학생 수의 차이는 제한적이나, 전국 230개 시, 군, 구를 기준으로 학년별 개설 학교 수와 성별 선택 학생 수의 차이는 물론 개설 학교 수와 선택 학생 수의 지역별 차이, 즉 지역적 편차가 존재하였다. 셋째, 공간 효과를 반영한 공간계량경제모형에서 공간적 의존성과 공간적 이질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경제 개설 학교 수와 경제 선택 학생 수는 지역적 특성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등학교 경제교육에 지역의 문화 또는 정치 발전이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sed on the number of high schools, which opened economics course, and the number of high school students, who chose it, in 2012 on the 230 Si-Gun-Gu districts in Korea, this paper showed the geographical variations in economic education as the cause of the retraction of current economic education in high school, and analyzed various Influencing factors using spatial econometric models. The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chools, which opened economics course, and students, who chose it as elective social studies, were concentrated in the Seoul-Gyeonggi metropolitan area. Second, school grade and gender differences in economics course were limited within each region of the 17 Si-Do districts, but those differences, which were called geographical variations in economic education, still existed among the 230 Si-Gun-Gu areas. Third, spatial dependence and spatial heterogene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patial econometric models, and the number of high schools, which opened economics course, and the number of high school students, who chose it, showed the influence of regional characteristics. Finally, political or cultural development of the local regions were found to act in high school economics education posi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