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성격특성과 직무만족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보육현장에서 인간관계시스템을 바람직하게 개선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25개시설의 보육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배경과 주요변인의 분포 파악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성격특성이 직무만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성격특성분포는 양육적 어버이자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뒤를 이어 성인자아, 자유로운 어린이자아, 순응하는 어린이자아, 비판적 어버이자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성격특성과 직무만족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러 변인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으나 상관의 정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은 비판적 어버이자아와 부적 상관관계가, 성인자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모든 성격특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성격특성이 직무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직무만족은 자기충족이 자유로운 어린이자아, 성인자아, 양육적 어버이자아, 순응하는 어린이자아, 직무적정이 순응하는 어린이자아, 비판적 어버이자아, 원장과의 관계/동료와의 관계는 , 순응하는 어린이자아가 예언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문제중심 대처방식이 자유로운 어린이자아, 순응하는 어린이자아, 성인자아가 정서완화 대처방식이 자유로운 어린이자아, 성인자아, 순응하는 어린이자아, 사회적 지지대처방식은 자유로운 어린이자아, 비판적 어버이자아, 순응하는 어린이자아가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은 성인자아, 순응하는 어린이자아, 자유로운 어린이자아가 예언변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rrelations of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traits with their job satisfaction and stress coping style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a system of human relations desirably in the nursery field.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60 childcare teachers in 25 facilities located in the Gyeongnam reg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the distribution of the main variable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with the collected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was calculated; and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s of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trait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stress coping style,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first, NP(Nurturing Parent) was the highest in the distribution of the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traits, followed by A(Adult), FC(Free Child), AC(Adapted Child) and CP(Controlling Parent).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of the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traits with their job satisfaction and stress coping styl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in several variable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the correlations. Job satisfac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P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 and stress coping styl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ll the personality traits. As a result of an examination of the impacts of the teachers’ personality trait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stress coping style, it turned out that FC, A, NP and AC were predictor variables of self-satisfaction, one of the sub-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AC and CP were those of job aptitude; and NP and AC were those of the relationships with the principal/colleagues. For the stress coping style, FC, AC and A were predictor variables of the problem-oriented coping style; FC, A and AC, of the emotional relief coping style; FC, CP and AC, of the social support coping style; and A, AC and FC, of the wishful thinking coping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