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지적 업무로의 인공지능 도입에 대한 인식이 알파고와 이세돌 9단과의 대국 전후에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탐색했다. 지적 업무로는 PR을 선택했고, 기업과 PR대행사 소속의 PR담당자 36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됐다. Q 방법론으로 지적 업무로의 인공지능 도입에 대한 조사 대상의 인식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1차 Q분류는 2015년 10월 29일부터 11월 11일, 2차 Q분류는이세돌 9단과 알파고와의 대국이 끝난 직후인 2016년 3월 15일부터 4월 15일까지 진행됐다. 연구 결과, 대국 이전에 비해 대국 후에 지적 업무로의 인공지능도입에 대한 인식 유형이 2개에서 4개로 확장됐다. 대국과 무관하게 1, 2차 분류에서 인공지능 무용론이 다수를 이뤘지만, 1차에서 인공지능을 보완적 수단으로 여기던 인식의 범주가 2차에서 인공지능의 정확성 강조형, 기존 컴퓨터수준의 역할 기대형, 그리고 인공지능에 대한 심화 업무 기대형으로 세분화 됐다. 대국 이후에 지적 업무로의 인공지능 도입에 대한 인식이 뚜렷하게 우호적으로 바뀌었다. 앞선 결과들은 인공지능에 대한 평가 혹은 인식이 기술의 발전과정에서 사회적으로 이목을 쏠리게 할 수 있는 특정 사건에 의해 영향을 받을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how people’s perception of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to intellectual work before and after game between AlphaGo, Google’s AI system, and Lee Sedol, South Korean Go grand master. We selected public relations (PR) as a research topic, and surveyed 36 people in charge of PR tasks in a company or a PR agency. The first q-sorting was conducted from Oct. 29 in 2015 to Nov. 11 in 2015; and the next one was from Mar. 15 in 2016, the right after the game, to Apr. 15 in 2016. As a result, the number of perception-types of adopting AI in intellectual work are revealed to increase from 2 to 4. Regardless of the time, an skeptical point of view of introducing AI into intellectual work was strongly supported by the PR people. A view of regarding AI as a sort of an assistant was categorized three types: a type of highlighting AI’s accuracy, a type of expecting a level of general computer, and a type of believing in AI’s capability in conducting further work. After the game, the view of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distinctly changed to be more posi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people’s perception or evaluation of AI can be influenced by an event brings social at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