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정서조절곤란과 양육효능감, 그리고 자녀의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모의 정서조절곤란이 청소년 자녀의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4개 시․도의 공립 초․중․고등학교 부모 208명을 대상으로 모의 정서조절곤란, 양육효능감, 자녀의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및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 그리고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검증하기 위한 Sobel 검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의 정서조절곤란은 자녀의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과 정적관계가 있으며, 양육효능감은 자녀의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과 부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효능감은 모의 정서조절곤란이 청소년 자녀의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유의미한 완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that maternal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contribute to their youth children’s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mediated by their parenting efficacy. 208 mothers with youth children in 3 metropolitan city and 1 province were surveye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21.0 and AMOS 21.0 were performed for data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youth children’s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and parenting efficac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youth children’s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Second, parenting efficacy perfectly mediated between maternal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their youth children’s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These results imply that it could be a effective strategy to enhance maternal efficacy to reduce youth children’s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