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남도의 대표적 전통서정시인인 송수권의 시론을 정립하기 위한 시론으로서 그가 스스로 내세운 남도의 3대 정신을 중심으로 접근해본 것이다. 사실 지금까지 그의 시세계를 ‘곡선의 상법’, ‘소리의 상법’ 등에 초점을 맞춰 논의한 바는 있었으나, 이는 시적 발상법의 특징을 언급한 것일 뿐 그 광범위한 시적 아우라를 중심공간인 남도의 정신과 연결시켜 시론으로 체계화해보려는 시도는 전무하다. 따라서 이 논문은 시인이 말로만 언급했던 남도의 3대 정신인 ‘황토의 정신’, ‘대나무의 정신’, ‘뻘의 정신’을 각각 ‘남도의 원초적 생명정신’, ‘남도의 풍류·저항정신’, ‘남도의 질펀한 개척정신’으로 연결시켜 그것들이 시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를 살피는 첫 시도가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and organize the poetics of Song, Soo-kwon, who was a classic lyric poet in the southern provinces of Korea. While the world of his poetry has been discussed from the view of “image of a curve or sound”, however, this view did not include his wide-ranging poetry with respect to the spirit of the southern provinces of Korea, which is located in the heart of the world of his poetry. Therefore, three kinds of southern spirit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and mapped to the interpreted terms. The ‘spirit of red clay’ is interpreted as a ‘folksy spirit’, the ‘spirit of bamboo’ as a ‘spirit of resistance and appreciation of arts’, and the ‘spirit of mud’ as an ‘idea of life’.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gist of his poetry was instantiated and written. Also, the prospect and direction of Korean lyric poetry discussed from his outlook of the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