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박서원의 시는 그동안 90년대, 남성적 질서에 대항하는 여성시의 한 성과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되어왔다. 가부장제 사회의 억압적 질서와 폭력의 철저한 피해자로 그 생생한 고통을 그 어떤 시인보다 선명하게 드러내었으며, 이것을 사회적 맥락으로 확장시키기보다는 대체로 여성 개인의 내면 깊은 무의식적 언어로 표현해내었다는 것이다. 개인사적으로 성폭행이라는 트라우마 이후 누구에게도 이해받지 못하고 혼자서 고통을 감당해야했던 박서원의 정신적 고통과 갈등은 이후 지속적인 육체의 증상으로 드러났다. 이 육체의 증상은 박서원 시의 중요한 시적 출발점이기도 했다는 점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뿐 아니라 ‘히스테리’와 연관된 언술 특징과 상상 체계에 관한 연구가 요청된다. 물론 이것은 단순히 증상의 1차적 시적 변용을 규명하는 일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무의식적 상상 체계에 관한 탐구로 연결되어야 한다. 먼저 박서원 상상체계의 특징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이 바로 ‘침투-이미지-감각-파편화’이다. 박서원의 작품은 ㉠‘작고 대수롭지 않은 주변 환경의 자극을 적대적 공격의 신호인 듯 과민 지각하는 일’을 기반으로 하여 ㉡‘언어화할 수 있는 서사 구조가 부재’한 ㉢‘지금 발생하고 있는 것 같은 무시무시한 즉각성을 가진 독립적 이미지’를 ㉣ ‘과도할 정도로 선명하고 생생한 낱낱의 감각적․정서적 체험’으로 반복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 과정을 거쳐 논리적인 언어로는 도저히 담아낼 수 없는 한 개인의 극단적인 고통이 시적 언어로 구현된다. 외상성 기억의 침투에 의해 만들어진 끔찍한 이미지와 고통스러운 감각이 마치 눈앞에서 지금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반복된다. 현실의 장막이 찢어지고 범인을 고발하듯이 외상의 끔찍함이 다시 불려나온다. 그러나 고통스런 이미지의 현시는 시적 자아의 무의식적 욕망에 의해 전환된다. 고통을 황홀로 전환시키는 독특한 상상체계이다. 박서원의 시적 자아는 고통을 도취와 황홀로 전환시켜 그것을 시적 자아의 강력한 힘으로 흡수한다. 고통은 엑스타시가 되고, 육체 안에서 특별한 자기 확신의 근거가 된다. 상처받고 나약했던 시적 자아는 엑스타시 이후 파괴적이고 강인한 남성적 힘을 소유한 존재로 다시 태어난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박서원의 시적 자아는 고통의 극단적인 절정에서 신에 대해 사유하기 시작한다. 시적 자아가 인간으로서 감당할 수 없는 고통에 휩싸이면 이것은 인간 한계를 뛰어넘었다는 증거가 된다. 한계를 뛰어넘었다는 것은 신의 경지에 이르렀다는 말이기도 하다. 즉 신의 지경에 이른 뒤, ‘신과 합일’하거나 혹은 ‘신도 어쩔 수 없는 예외적이고 신비한 존재’로 자신을 해석하는 이 순간적인 착란의 지점에서 박서원의 시적 자아가 가진 초극의 욕망이 드러난다는 말이다. 박서원은 트라우마에서 비롯된 고통에 침투당하여 자신도 어쩌지 못하는 힘에 지배를 받아 절규하지만, 고통을 제거할 수 없다면, 바로 그 고통을 동력으로 삼아 어떤 인간도 감당하지 못할 고통을 겪는다는 바로 그 부인할 수 없는 사실 자체로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은 존재로 탈바꿈하려는 초인적인 의지를 발동시킨다. 생생한 고통의 감각적 이미지들이 절정의 상태에 이르고, 마침내 박서원은 환상 속에서 신을 만난다. 그리하여 자신을 구원해주지 않은 신을 단죄하고, 마침내 신도 어쩌지 못하는 자신만의 신비한 힘과 존재의미를 확인해내는 상상 체계를 선보인다. 박서원은 외상 신경증이 만들어낸 이미지를 시적 언어로 옮겨 독창적인 시 세계를 구현해낸 시인이다. 병의 심리적이고 상징적인 힘과 실제로 병든 몸이 주는 절망의 긴장 사이에서 박서원은 현실 쪽을 선택하였다. 남성적 세계의 일방적 폭력에 희생당한 한 여성이 삶의 가장 아름다운 젊은 시절 내내 트라우마로 인한 신경증으로 고통받았다. 시를 통해 잠시나마 구원을 꿈꾸었고, 누군가를 사랑하고 누군가에게 사랑받는 평범한 삶을 바랐지만 이루어지지 않았다. 무엇보다 안타까운 것은 고통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 여성의 꿈과 삶이 끝내 좌절되었다는 바로 그 사실에 있다.


During the 1990s, Park Seo-Won󰡑s poetry has been evaluated by showing the work of women during the performance against the masculine order. Her poetry has revealed the vivid pain as thorough victims of violence in the oppressive patriarchal social order of sharpening than any other poet. She did express deep and largely unconscious inner language of women's individual rather than to extend the work to the social context. Park Seo-Won suffered the trauma of sexual assault. But she does not understand anyone who had to bear the pain alone. Eventually emotional distress and conflict appeared as a symptom of an ongoing body. Physical symptoms were also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Park Seo won poetic works. Therefore, the study of the language features and imaginative framework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Hysteria' is required. Of course, the unconscious imagination system and poetic transfiguration of Symptoms are needed at the same time. First, the major imagination system of Park Seo-Won󰡑s poetry appears as 'intrusion-image-sense-fragmented '. Park Seo-Won󰡑 work has following four characteristics. ㉠ 'small and insignificant things seemed to stimulate an attack of hostile signals that are sensitive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perception' ㉡ 'a narrative structure that can be absence Language' ㉢ 'independent image with the immediacy ghastly like that now occur' ㉣ 'clear and vivid sense of Piecewise enough to excessively emotional experience' As a result, the logical language is a personal extreme pain that can not be hardly packed is implemented by Poetic language. The terrible images and painful sensations created by the penetration of traumatic memories is repeated as if it were happening in front of you. The reality is torn and accused as the culprit emerges again called cruelty of this trauma. But manifestation of a painful image is converted by the unconscious desire of the Poetic ego. A unique imagination system that converts pain into trance. Park Seo-Won󰡑s poetic ego was converted pain into trance and carried away and then absorb it into powerful poetic ego. The pain becomes ecstasy, it is the basis of a special self-confidence in the flesh. Poetic ego was hurt and passive weakness is reborn as a strong masculine presence who owns the destructive force after ecstasy. Poetic ego of Park Seo-Won does not stop here, starts to think about God at the pinnacle of extreme pain. If the poetic ego is engulfed in pain as a human being who can not afford this is evidence that surpassed human limits. Jumped over the limit is reached it is saying to the godhood. Early after God's borders, and interprets itself as a 'union with God', or 'existence and exceptions God can not help the mysterious'. From the point of momentary confusion reveals the desire of the poetic self with ultra Park Seo-Won. Park Seo-Won will receive scream subject to the pain of the trauma ever, not even What if his strength. If she can not remove the pain, suffer not just bear the pain any human to superhuman power is thus immediately activate willingness to transform itself by the fact that no one can deny the existence surpassed human limits. Sensory image of the terrible pain they reached a state of climax, finally Park Seo-Won meet with God in fantasy. So she condemned God did not save herself, imagining system that will finally serving out the mysterious force and meaning of their own existence What if believers do. Park Seo-Won is a poet, the world came up with during implementation of the original moving image created by traumatic neurosis as a poetic language. Between the psychological and symbolic force of despair that the disease actually a sick body tension Park Seo-Won chose the side of reality. A woman who was victim of a one-sided violence in the masculine world suffered from neurosis caused by trauma throughout the life of the most beautiful youth. She wanted someone to love and someone who loved simple life, dreamed of a moment when salvation through. But her dream was not done in the end. It is particularly unfortunate in the very fact of women's dreams effort to overcome the pain and frustration life was fin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