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학교폭력이 학교를 넘어 사회문제가 된 이래,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적 차원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이어졌다. 이후, 이러한 필요를 반영하여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연구와 정책에 적용하고 활용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왔으나, 현 시점에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을 위한 학교와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실제’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을 위한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현황을 파악하고 학교 간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실제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교가 지역사회 기관과 맺은 연계의 빈도를 유형에 따라 분석하고,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해 학교 간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각 연계유형에 따라, 1)정보제공은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거나 학교전담경찰관과 같은 전문 인력을 지원받기 위해 학생이나 학교 정보를 기관으로 제공하는 형태로, 2)대상자 의뢰는 학교폭력 피해자 상담 혹은 가해자 대안교육에 의뢰하는 형태로, 3)자원요청은 교육프로그램이나 전문 인력을 요청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4)공동서비스 제공은 전문 인력을 활용한 공동 활동을 하거나 보고체계를 구축하고 활용하는 형태의 연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히, 대책 차원의 대상자 의뢰와 예방 차원의 자원요청이 가장 빈번한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유형으로 나타났는데, 이 같은 현재의 실제 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연구와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 간 네트워크는 학교폭력 예방과 대책의 각 차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예방 차원의 네트워크에 비해 대책 차원의 네트워크가 비교적 약한 연결을 나타냈다. 이는 대책차원의 연계가 예방차원의 연계보다 조심스러운 현실의 반영이기도 하나, 이 대책 차원 학교 간 네트워크의 약한 연결이 갖는 장점을 활용한 정보교류 네트워크 구축도 가능하다. 추후 조사대상의 범위를 지역사회기관 전체로 확대하고 광범위한 단위에서 연구를 진행한다면, 더욱 유의미한 시사점 도출이 가능할 것이다.


Since school violence has become a social issue, the need of intervention at social dimension was discussed in order to solve that problem. Reflecting that need, there have been attempts to apply community network to studies and policies o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But now, in fact, there are only few studies on practical community network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preliminary data about practical community network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by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1)schools provide information of their students or the institution to community organizations for receiving prevention programs or professionals such as school police, 2)schools refer victims of school violence to counseling service or perpetrators to alternative education, 3)schools request resources such as education programs or professionals to community organizations, 4)schools provide associated services with professionals by cooperated activities or constructing report-system. Especially, In the case of intervention, the most frequent association type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was referral for involved people as means for intervention, and requesting resources as means for prevention. We need to understand this demand and apply it to studies and policies. Also network between schools varies with practical levels of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A school network for intervention shows relatively weaker than prevention. Though this result reflects reality that connection for intervention is more cautious than prevention, it could be useful to build network for exchanging information using the strength of weak tie. By expending survey to every community organization and broader area, we can found mor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school-community network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