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가 복잡해짐과 더불어 많은 이들이 더 많은 정보를 공유하게 되면서 대다수의 국민이 크고 작은 사회적 사건에 자주 노출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 과정에서 개인이나 집단의 과오로 인한 사과 담화 및 사과 텍스트가 오가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며, 이에 대해 사건 당사자가 아니더라도 사안의 경중에 따라 그 소통의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거나 관찰하며 사과 담화 또는 사과 텍스트의 정당성, 진정성, 타당성 등을 판단하게 된다. 문제는 이와 같은 언어 활동이 과거에 비해 근래에 더 잦아진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사회언어적 현상에 대하여 국어 교육은 어떠한 대응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떠한 교육적 관점과 실천이 필요한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과 초․중등 국어 교과서의 ‘사과하기’ 관련 내용을 검토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과서의 사과 담화 및 사과 텍스트를 일정한 분석틀에 입각하여 살펴본 후 그 특징을 수렴하였다. 그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사과하기’를 교육 내용으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개선해야 할 점을 제안하였다.


As Korean society becomes more complex and people share much more information, people get involved increasing numbers of social conflicts. Consequently, situations in which people must apologize have become more common. Even if people are no in a situation where they must apologize themselves, they often witness apologies in the media. In this paper, I investigate how this sociological linguistic situation can be addressed in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to prepare students to apologize in contemporary situations. I investigated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and textbooks from the elementary to high school level. More specifically I analyzed apology discourse and apology text that appeared in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 make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design of educational contents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and text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