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구간 추정과 가설 검정법이라는 계량언어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어 듣기 교재 내 제시대화문과 한국어 준구어에서 출현한 일반명사들에 대해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은 먼저 의미적 측면에서 일반명사를 구체명사와 추상명사로 나누고 다시 구체명사는 주체, 장소, 구체물, 추상명사는 추상물, 일 관련, 추상적 관계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음 이들 일반명사를 어원적으로 고유어, 한자어, ‘고유어+한자어, 한자어+고유어’, 외래어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일반명사가 포함된 10개 어절구조에 대해서도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에 연구자는 이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어 듣기 교재 내 제시대화문 집필에 대해 몇 가지 주의할 점들을 제의하였다.


The numbers of common nouns are in the majority in Korean vocabulary. This paper works on the comparative study of common nouns appearing in the quasi-oral Korean and situational dialogues of listening textbooks by using interval estimation and theory of testing hypothesis of quantitative linguistic as study methods. This thesis is proved from three parts. First of all, common nouns can be divided into concrete nouns and abstract nou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rdinary meaning. Concrete noun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subjective nouns, place nouns and concrete material nouns. And abstract noun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abstract material nouns, event-related nouns and abstract-related nouns. Secondly, on the basis of source language systems, we divide common noun into proper words system, Sino-Korean words system, ‘proper+Sino-Korean words, Sino-Korean +proper words’ system for further research and make a comparative study of 10 phrase structures used common nouns. Finally, basing on the results, some suggestions are given to the compilation of the situational dialogue in Korean listening text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