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많은 연구자들이 리동설과 리도설을 이황이 주장한 것으로 오해한다. 본고는 이에 대한 반론으로, 리동설과 리도설은 기대승의 핵심 주장이며이황의 리발설과 정면으로 대치되는 이론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황은 사단을 정으로 본다. 이에 반해 기대승은 사단을 기질지성으로보고, 사단과 기질지성을 똑같이 ‘물 위에 뜬 달’에 비유한다. 기대승이말하는 사단은 기질을 가능한 배제하고 ‘그 기질에 타고 있는 리’를 가리켜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대승 철학에서 사단은 칠정 밖에 별도로존재할 수 없다. 이러한 시각에서 기대승은 리동설을 주장했다. 기대승의 리동설은, 화물이 기차에 실려 이동하는 것처럼, 리는 오로지 기질에실려 움직인다는 의미이다. 사단을 ‘기질에 타고 있는 리’로 본다는 것은, 기질의 청탁(淸濁)에 비례해서 거기에 타고 있는 리가 드러나거나 은폐된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기대승은 ‘물격’에 대한 주희의 주석을 ‘물리의 극처[理] 가 [저절로] 이르다[到]’로 해석하는데, 이러한 해석방식을 리도설이라한다. ‘리도’는 구름이 없으면 태양이 저절로 드러나듯 마음이 맑으면 리가 저절로 드러난다는 의미이고 그 지향점은 마음을 맑게 하라는 데에있다. 이이ㆍ송시열 등은 주희의 주석을 ‘물리가 극처에 이르다’로 해석함으로써 기대승의 리도설을 이어간다. 리도설 또한 리동설과 마찬가지로 ‘칠정 밖에 사단이 별도로 있지 않다’는 전제 위에 세워진 이론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사단이 칠정 밖에 별도로 존재한다는 것은, 사단의 발현과 기질의 청탁은 상관이 없다는 뜻을 함축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는 수양의 초점이 흐린 기질을 맑은 기질로 변화시키는 데 있는것이 아니라, 사단의 싹을 함양해서 사단으로 발현되게 하는 데에 있다. 이에 따라 이황은 주희의 주석을 ‘[내가] 물리의 극처에 이르다’로 해석한다. 기대승과의 논쟁 끝에 이황은 “물리의 극처가, ‘내가 궁리한 바에따라’ 이르다”로 해석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답변하는데, 이는 기존 견해를 변함없이 견지한 것이다. 리동설과 리도설은 사단이 칠정 밖에 별도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기대승의 핵심 주장을 담고 있는 이론으로, 사단이 칠정과는 별도로 엄연히 존재한다고 보는 이황의 리발설과 대척점에 놓여 있다.


The li-transported theory(理動說) and the li-revealed theory(理 到說) have been regarded as characters of Li Hwang(李滉)’s philosophy. This thesis is a counterargument on the misunderstanding. Li Hwang believed that there is the so-called four-clues in the realm of emotions. On the contrary Gi Daeseung(奇大升) insisted that the four-clues was not any emotion but the nature ridden on the material. If the nature is always revealed into seven-emotions, then what should it be called the li(理) ridden on the seven-emotions? That is four-clues, he said. According to the viewpoint, he suggested that a pair of proposition established by Li Hwang, ‘理發而氣隨之’ and ‘氣發而理乘之’ should be modified to ‘理動而氣俱’ and ‘氣感而理乘’. ‘理動’ is a contraction of ‘理動而氣俱’, just as ‘理發’ is a contraction of ‘理發而氣隨之’; ‘理動而氣俱’ means that li can’t move itself, that is to say li is always transported from the nature into the emotion by qi(氣), just as the cargo is transported by the vehicle. Gi Daeseung, who regarded the four-clues as the nature ridden on the material, believed whether an emotion is proper or not is already determined only by purity or impurity of material composed of qi. According to the viewpoint, he interpreted ‘物理之 極處’ of ‘物理之極處無不到’ as the subject. [The phrase is the Zhu xi(朱熹)’s comments on ‘物格’ in The Great Learning.] In the Joseon Period, the li-revealed theory so called is the term which points this analytic way; and the meaning is that as the mind is pure so is li to reveal on the mind, like that as the lake is clear so is moonlight to float by itself. Li Yi(李珥) and Song Siyeol(宋時烈) interpreted the phrase to the meaning that li reach to the peak, their interpretation is practically the same with like the way of Gi Daeseung. On the other hand, to regard the four-clues to be in the realm of emotions means that the four-clues is issued regardless the proportion of purity,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his philosophy is cultivating the four-clues. According to the viewpoint, Li Hwang interpreted the phrase to the meaning that a man can reach to the pick at first. In later life, Li Hwang reinterpreted the phrase to the meaning that li can be revealed by itself in proportion to the depth of researching, but there is no change of thought in it. The li-issued theory of Li Hwang is the theory to regard four clues as emotions, the li-transported theory and the li-revealed theory of Gi Daeseung is the theory to regard four clues as the nature in the material. Theory of Gi Daeseung is an antipode to the theory of Li Hw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