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도덕경(道德經)』은 노자(老子)의 유일한 저서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에 의하면, 이 『도덕경』의 사상은 한마디로 무위자연(無爲自然)으로 압축할 수 있다. 무위는 ‘도는 언제나 무위이지만 하지 않는 일이 없다(道常無爲而無不爲).’의 무위이고, 자연은 ‘하늘은 도를 본받고 도는 자연을 본받는다(天法道道法自然).’의 자연을 의미하는 것으로, 결국 『도덕경』의 사상은 모든 거짓됨과 인위적인 것에서 벗어나려는 사상이다. 이는 다시 말해서 좋다·나쁘다, 크다·작다, 높다·낮다 등의 판단들은 인간들이 인위적으로 비교하여 만들어낸 상대적 개념이며, 이런 개념들로는 도(道)를 밝혀낼 수 없다는 것이다. 언어라는 것은 상대적 개념들의 집합체이므로 『도덕경』에서는 언어에 대한 부정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 점에서 유가사상과 현격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What is called understanding of the other essentially means that there are no obstacles in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If we extend this to modern society, it is by frank dialogue, that there are no misunderstandings between people. Arguably, over time, society will become more harmonious. On the contrary, in spite of this, with the complex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there is now both more oversight of human relationships and a strengthened individualism. This is why we currently need to review the Daodejing of Lao tze. Lao tze shows us that when we communicate well with each other, this will tend to promote coexistence within society. In this regard leaders must personally set an example. Therefore, leaders first should eliminate any bad attitudes and focus on the good to embrace all members of society. In addition, “as is the king, so go the people,” in other words, leaders must maintain a harmonious coexistence within their social sphere so the common people will be able to learn from their example. This will promote harmony with other people naturally through the modeling of positive 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