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Das ,Kausativ‘ ist eine grammatische Kategorie, die sowohl morphologisch als auch syntaktisch ausgedrückt werden kann. Die Konstruktionen, die das Kausativ syntaktisch ausdrücken, nennt man analytische Kausativkonstruktionen. Im Deutschen wird die Kombination von lassen und einem Infinitiv, nämlich die lassen-Konstruktion, als solche betrachtet. Im Koreanischen entspricht ihr die Kombination von hata ‘tun’ und einem durch ein Suffix (-key) adverbialisierten Basisverb, nämlich die -key hata-Konstruktion. Semantisch gesehen sind in der kausativen Situation zwei Partizipanten notwendig: der Causer und der Causee. Da der Causee gleichzeitig vom Kausativverb und auch vom Basisverb abhängig ist, könnte er nicht eindeutig bezeichnet werden. In disesem Aufsatz wird deshalb versucht, das Realisierungsprinzip des Causee herauszufinden. Bezüglich der lassen-Konstruktion im Deutschen lässt sich Folgendes feststellen: Der Causee steht in der Regel im Akkusativ. Das hat mit der syntaktischen Eigenschaft von lassen als AcI-Verb zu tun. Zur Realisierung des Causee im Deutschen spielen also Begriffe wie Kontrolle, Kausationstyp u. a. keine entscheidende Rolle. Zur Realisierung des Causee in der -key hata-Konstruktion spielt jedoch das semantische Merkmal ,Kontrolle‘ eine wichtige Rolle: In den Fällen, in denen der Causee keine Kontrolle hat, ist der Causee im Dativ nicht möglich. In den Fällen, in denen aber der Causee Kontrolle hat, kann der Causee sowohl im Akkusativ als auch im Dativ stehen. Bei intransitiven Basisverben wird allerdings der Akkusativ bevorzugt, während bei transitiven Basisverben der Dativ bevorzugt wird. Die Kasus-Hierarchie spielt hier also eine Rolle. Das semantische Merkmal ,Kontrolle‘ hat jedoch den Vorrang vor der Kasus-Hierarchie.


‘사역’이라는 문법범주는 형태적으로 뿐만 아니라 통사적으로도 실현된다. 사역이 통사적으로 실현되는 구문을 보통 ‘분석적 사역구문(analytische Kausativkonstruktionen)’이라고 부르는데, 독일어에서는 사역동사 lassen과 부정형동사의 결합, 즉 lassen-구문이 여기에 해당한다. 한국어에서는 (..게) 하다와 기본동사의 결합, 즉 (..게) 하다-구문이 분석적 사역구문에 해당한다. 의미론적인 관점에서 보면, 사역이라는 상황에는 ‘사역자(Causer)’와 ‘피사역자(Causee)’라는 두 개의 참여자가 필수적이다. 피사역자는 사역동사뿐만아니라 기본동사의 논항도 되기 때문에 일관성 있게 실현되지 않는 경향이있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피사역자의 실현규칙이 있을 것이라는 전제하에이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유형론적인 연구에 따르면, 기본동사의 타동성이나문법기능의 위계와 같은 개념이 피사역자의 실현방식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요인이 된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은 어휘적인 사역구문에는 잘 적용되지만, 분석적인 사역구문에는 잘 적용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사역의 유형(Kausationstypen), 통제력(Kontrolle)과 같은 기능적인개념의 도움을 받아 피사역자의 실현과 관련된 전통적인 설명을 보완하고자하였다. 그 결과, 독일어에서는 3격이 피사역자를 위한 표현으로 사용된 역사적인 시기가 있었고, 이러한 현상은 피사역자의 통제력 여부와 관련이 있음을알 수 있었다. 그리고 피사역자가 전치사구로 실현될 수 있는 ‘지시(Direktive)’ 사역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lassen-사역구문에서 피사역자는 4격으로 실현됨이 밝혀졌다. 이는 AcI(Accusativ cum Infinitiv)-동사로서lassen의 통사적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설명 가능하다. 한국어 (..게) 하다-구문의 경우에는 피사역자가 대격뿐만 아니라 여격으로도 실현되는데, 특히 피사역자가 통제력을 갖는 ‘지시’와 ‘동기(Motivation)’ 사역에서 여격으로 실현되는 경우가 빈도 높게 나타났다. 이 때 기본동사가자동사일 때보다는 타동사일 때 여격으로 실현되는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격 위계(Kasushierarchie)도 일정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게) 하다-구문에서는 피사역자의 실현방식에 격 위계보다는 통제력 여부가 우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피사역자의 통제력이 없는 것으로 구분되는 ‘조작(Manipulation)’과 ‘원인(Ursache)’ 사역의 경우, 피사역자가 대격으로 일관성 있게 실현되는 것을 통해서 더욱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