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45년 8.15 해방공간, 여운형 박헌영은 인민공화국(人共)을 수립하면서 공산주의 좌익세력을 결집하여 모스크바 3상회의의 신탁통치안을 적극 지지한다는 찬탁(贊託)운동을 벌였다. 이들 인공 계열은 좌우합작에 의한 통일정부 수립을 주장하면서 이승만에게 동참을 강요했다. 그러나 이승만은 반공 반탁(反託)을 외치면서 남한만의 단독선거(單選)에 의한 단독정부(單 政) 수립을 주장하였다. 이승만은 좌우합작을 적극 반대하면서 용공(容共)정책을 고집하는 미군정청의 하지를 상대하지 않고 맥아더 유엔군총사령관의 주선으로 방미외교로 미국으로부터 단선에 의한 남한 단독정부 수립안을 승인받은 것이다. 그러나 김구는 이승만의 단선 단정을 반대하면서 이승만과 결별하고 남북협상에 의한 통일정부 구성을 주장하면서, 남북협상을 위해 북행을 단행했다. 김일성과의 남북협상을 벌인 결과 단선 단정을 반대하면서 미소 양군을 철수한 후 남북정치회담을 통해 남북 통일정부 수립을 결의했다. 그러나 김구는 김일성의 미군철수 후 한반도를 적화 통일하겠다는 통일전선전략에 이용만 당한 것이다. 이광수는 국공합작(國共合作)으로 결국 중국이 공산화되었듯이 좌우합작에 호응한다면 결국 한반도는 적화통일이 될 것이라고 예단하고 이승만의 단선 단정을 적극 지지하였다. 좌우합작과 남북협상 요구에 호응한다면 결국 김일성의 통일전략에 의해 한반도는 공산화될 뿐만 아니라 민족문화를 기초로 한 민족자주독립국은 소멸되고 한국은 소련의 일 위성국으로 전락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승만은 인공 좌익세력의 좌우합작과 남북협상에 의한 통일전략을 분쇄하고 단선 단정 수립안을 관철,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했다. 이승만은 유엔총회로부터 정식 승인을 받는 것이 국가의 명운이 걸린 최대과제라 인식, 유엔총회의 승인을 받는 데 외교적 총력을 집중했다. 이승만은 장면을 유엔 한국대표에 임명, 로마 교황으로 하여금 승인을 받겠다는 ‘바티칸 공략’으로 마침내 유엔총회에서 찬성 48이라는 압도적 지지를 받아 대한민국이 한반도에서의 유일 합법 정통정부임을 승인받은 것이다. 유엔총회의 한국 승인은 6.25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미국을 비롯하여 16개 유엔회원국의 참전을 유도, 한반도의 적화통일을 막아준 원동력이 되었다.


At a conference in Moscow in December, the foreign ministers of three great powers adopted a trusteeship plan for five years as a mean of solving the Korean problem. Meanwhile the left-wing political parties carried on a unified the pro-trusteeship campaign, at same time sought to bring about accord between left and right, thus to achieve unification of the peninsula. This plan of the left-right cooperation came to receive the baking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democratic natioanalist, Syngman Rhee started the anti-trusteeship movement and refused the left-right cooperation. At last Rhee personally travelled to the United States in an effort to achieve of establishing of the exclusive government. Kim Ku's main activity was to support the left-right cooperation, and to oppose Rhee's plan of establishment of exclusive government. In August 15, 1948,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announced to the Korean people and to the wofld. In December of 1948, the Republic of Korea was acknowledged by the U. N. General Assembly to be, in effect, the only lawfully constituted government in the Korean Peninsula. On June 25, 1950, then, North Korea launched a surprise attack across the 38th parallel to try communize the Korean Peninsula by force. The United Nations, however, quickly resolved to give military support to the Republic of Korea at whose birth as an independent nation the U. N. had acted as a midwife. Accordingly the United Nations recognized the Republic of Korea as the sole legitimate government in Korean peninsula. So 16 countries of the U. N. membership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to defend the North Korean invasion under the flag of the United Nations. In October 1953,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oncluded the Mutual Defense Treaty for Korean national security in Washington D. C.


키워드열기/닫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