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틴 경력의 하위요인인 자기주도와 가치중시 그리고 무경계경력의 하위요인인 무경계 의식과 조직이동선호가 주관적 경력성공 요인인경력만족, 고용가능성 및 삶의 만족과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서 다양한 조직에서 근무하면서 성인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S 사이버대학교 재학생 1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신뢰도와타당성분석을 위해서 내적일관성 및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인구통계적 변인들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프로틴 경력과 무경계 경력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구결과는 프로틴 경력의 하위요인들과 무경계 경력태도의 하위요인인 조직이동선호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했다. 그러나 무경계 경력태도의 무경계의식은 주관적 경력성공 변인인 경력만족, 고용가능성 및 삶의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를 설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career(self-directed and value-directed), boundaryless career(boundaryless mindset and organizational mobil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Data were obtained from 138 adult students who were working in a variety of organizations and were studying in cyber university. Analytical methods used were confidenc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fter whic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relationship among protean career, boundaryless career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Results showed that protean career and boundaryless caree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subjective career success. Moreover, findings revealed that boundaryless mindset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satisfaction, employ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However, Self directed, value directed and organizational mobi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career success.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