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변강쇠가>에 대한 기존 논의를 통해 <변강쇠가>의 기괴성이 기존의 이데올로기적 공동체와는 다른 의미의 공동체를 지향하는 기제로 작용하고있다는 점을 포착하고, 이 문제를 좀 더 본격적으로 논의해 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시각으로 삼은 낭시의 공동체 이론을 개략적으로 이해한 뒤, 첫째, 옹녀와 강쇠는서로가 마주보는 타자로서 그들의 만남과 삶은 낭시가 말하는 ‘공동-내-존재’에 가깝다는 것, 둘째, 작품에 나타난 기이함 혹은 결핍이 외존(外存)을 통해 ‘함께-있음’을 유도한다는 것, 셋째, 강쇠 주변인들의 죽음은 ‘유한성’의 징표로서 이것은‘함께-있음’ 또는 ‘공동-내-존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 등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변강쇠가>의 기괴성은 단순히 기존의 이데올로기적 공동체에 대한 저항 기제로서가 아니라 중심과 주변부라는 상호 배타적인 이원적 도식화가 지닌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하는 것과 관계된다는 점, 기존의 이데올로기 체제에수용되지 못한 작품 속 주체들은 단순한 주변인이 아니라 중심부 주체들과는 다른 방식의 삶을 소유하고자 했던, 새로운 ‘공동체성’을 지닌 독립적인 주체들이라는점, 결국 <변강쇠가>는 기존의 이데올로기적 공동체를 넘어선 그 바깥의 ‘함께-있음’을 지향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는 점 등을 제시하였다. <변강쇠가>는 기괴성, 기괴미가 가장 특징적으로 부각되어 있는 작품이다. 이는 동일성을 요구하는 이데올로기적 호명에 응답하지 않고 침묵하고자 했던 작가의 의지로 보인다. 하층 유랑민의 비참한 현실을 기존과는 전혀 다른 그로테스크미학으로 창조함으로써 조선후기의 구조적 모순에 문제제기를 한 것이다. 이데올로기 자체가 한계인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이데올로기 안에서 불가능한 동일성을추구하는 삶을 살지 않고, 바깥에서 외존을 향하며 진정한 ‘우리’로의 낯선 세계를선택한 것이다.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talk deeply about the fact that characters and actions of <Byeongangseoga> and abnormality that appears throughout the piece has acted as a mechanism which pursues community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ideological community. We will do so by looking at the existing articles on <Byeongangseoga>. First, we will briefly cover Nancy’s Theories of Community which was cited as a perspective of research, and then examine the three following aspects: 1. Ong-nyeo and Gang-soe are two different subjects that faces each other, and their meeting each other and lives are closed to a ‘Being-in-community (être-en-commun)’ 2. Abnormality or deficiency shown in the work induce ‘Being-in-common (être-avec)’ via ex-position (外存). 3. Death of Gangsoe and the surrounding figures is closely connected with ‘Being-in-common (être-avec)’ or ‘Being-in-community (être-en-commun)’ as a sign of finitude. Through presenting these aspects, the paper suggests three different ideas. First, abnormality of <Byeongangseoga> is not only acts as a defense mechanism against the existing ideological community but also relates to overcoming the fundamental limitation that mutually exclusive schematization contains. Second, the subjects that were not accepted to the preexisting ideology system are not just simple surrounding figures, but are independent characters that owns the new type of ‘community spirit’ and tries to live their lives in different ways. Third, ultimately, <Byeongangseoga> is a piece that pursues ‘Being-in-community (être-en-commun)’ which exceeds the notion of existing ideological community. It’s clear that <Byeongangseoga> owns abnormal and unfamiliar grotesque-beauty. It seems like the author did not want to respond to ideological calling that requires sameness by intentionally not saying anything. By transforming sad reality of the lower-class nomads into aesthetics of the grotesque, he presented the structural imbalances in late Joseon dynasty. To show that ideology itself is a limitation, they did not live a life that pursue unity which is impossible to obtain within the ideology, but rather they faced ‘ex-position’ and chose the strange world of true ‘we-ness’. This abnormal resistance is an aggressive action which refuses to respond to totalitarianism which use the enthusiasm of people to make ideology an absolute solution and force it upon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