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산에 거주하는 중년 어머니와 청년 자녀 201쌍의 자료를 수집하여 청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과보호가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과는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 그리고 청년 자녀를 향한 어머니의 과보호가 청년 자녀의 분리-개별화와 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과는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상관분석 결과,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어머니의 과보호는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과보호는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과는 부적 상관을 우울과는 정적 상관을 보여주었다. 예상한 바와 같이, 어머니의 과보호와 자녀의 분리-개별화는 부적 상관을 보여주었다. 어머니의 과보호와 청년 자녀의 분리-개별화 및 심리적 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경로를 분석 한 결과, 어머니의 과보호는 청년 자녀의 분리-개별화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그다음 건강하지 못한 청년 자녀의 분리-개별화는 청년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에는 부적 영향을, 우울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 어머니의 과보호가 청년 자녀의 분리-개별화와 심리적 적응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어머니 자신의 심리적 적응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본 연구는 한국 어머니의 애정에 근거한 과보호에 대한 대안적 고찰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in adolescen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separation anxiety, overprotection toward their adolescent child, and maternal psychological adaptation by analyzing data from 201 pairs of middle-aged mothers and their adolescent children who live in Busan.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separation anxiety and overprotection toward their adolescent child. Maternal separation anxiety and overprotec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adaptation. As expected, maternal overprote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adolescent child’s separation-individuation. A bootstrap analysis indicated, that maternal overprote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eparation-individuation in their adolescent children and, in turn, children’s separation-individuation had negative effects on adolescent children’s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but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depression. Maternal overprote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mothers’ psychological adaptation. The need to reexamine the ambivalent role of maternal overprotection in Korean was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