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총 무역액 중 95% 이상이 해상 수송되는 현실을 바탕으로, 해상 수송의 근간이 되는 항만의 자본스톡과 무역 규모 간의 회귀분석을 수행하는 논문이다. 패널 데이터 분석 및 고정효과 모형 분석을 통해 항만 SOC가 무역 규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항만 SOC를 6개 부문별로 분류하고, 장래 부문별 투자가 이루어졌을 때 무역 규모는 각각 얼마만큼의 영향을 받는 지를 추정하였다. 이와 더불어 LR(Likelihood ratio) 검정을 실시하여 고정효과 모형(Fixed Effects Model)을 통해 회귀분석 하였다.


This study mainly investigates the port SOC’s impact on trade volum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ort SOC and trade volume, we did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panel data regression and fixed effects model. The total period of 97 years and 1,082 ports’ information were applied to panel data and regression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efficients of development of container berth, development of bulk berth, maintenance of port, the jetty facilities like breakwater have positive(+) impact on the dependent variable, the trade volume. Especially, the jetty facilities show a strongly positive impact on trade volume. 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of new port and navigation facilities like lighthouse have a negative(-) impact. In examining Hausman test and LR test, the fixed effect model is statistically more appropriate than the random effect model for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