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의 ‘염불작법(念佛作法)’에 수록된 <서왕가(염불)>에 나타난 교훈은 대중 포교용 불교가사와는 내용․표현적 특징에서 다를 것이라 생각한다. 이런 생각에서 본고에서는 <서왕가(염불)>의 수용문맥과 <서왕가(염불)>에 나타난 교훈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왕가(염불)>의 수용문맥이다. <서왕가(염불)>는 대중 포교용 서적인 『염불보권문』의 ‘염불작법’에 수록되어 있다. ‘염불작법’은 불교의례에 쓰인 염불문을 모은 것으로 <서왕가(염불)>가 염불문의 하나일 가능성이 있다. <서왕가(염불)>에는 화자의 ‘번뇌와 수행․득도’에 대한 독백과 불교적 교훈에 대한 전언이 있는데 <서왕가(염불)>와 유사한 작품이면서도 대중 포교용으로 수용된 작품인 <강월존자 서왕가>와 <서왕가(권상로)>에서는 노랫말에 ‘번뇌와 수행․득도’라는 내용이 없다. 이러한 사실들로 보아 <서왕가(염불)>는 대중 포교용으로 수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불교의례의 염불문의 하나로 수용되었다. 둘째, <서왕가(염불)>에 나타난 교훈이다. <서왕가(염불)>에서는 ‘인식기관과 집착의 결합으로 생긴 번뇌를 본래의 청정한 마음으로 제거하여 득도에 이른다’는 것이 주된 교훈이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 부분은 ‘번뇌와 수행․득도’하는 삶에 대한 ‘나’(수행자)의 독백이고, 두 번째 부분은 중생에게 불교적 교훈을 전달하는 ‘나’(수행자)의 전언이고, 세 번째 부분은 전언을 듣고 수행․득도하는 ‘나’(중생)의 독백이다. <서왕가(염불)>는 대중 포교용으로 수용되었으므로 중생 ‘나’의 독백이 있고 ‘번뇌’를 제시하여 문제를 인식하게 하고 ‘득도’의 길을 제시하는 순서로 전개되어 대중들이 공감하기 쉽다. <서왕가(염불)>는 불교의례에서의 염불문의 하나로 수용되었으므로 수행자 ‘나’의 독백이 있고 번뇌를 제시한 다음 ‘수행․득도’의 길을 제시하는 순서로 전개되고 자리이타(自利利他)를 모두 제시하여 승려들이 공감하기 쉽다.


In this thesis, I aim at investigation at the reception context and the lesson in Seowanga(서왕가).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reception context of Seowanga(서왕가) : Seowanga(서왕가) is included in Yembulbogwonmun(염불보권문) Yembuljakbeop(염불작법). Yembulbogwonmun(염불보권문) is the book of propagating Buddhism to people. Yembuljakbeop(염불작법) is the third part in Yembulbogwonmun(염불보권문) and include the various Buddhist prayer. As these fact, we know that reception context of Seowanga(서왕가) is propagating Buddhism to people and chanting a Buddhist prayer in Buddhist ritual. The lesson in Seowanga(서왕가) : There are three part in Seowanga(서왕가). The first part is a disciplinant's monologue. A disciplinant monologize about his life of agony and achieving spiritual enlightenment. The second part is a disciplinant's delivering a message. A disciplinant deliver the message of agony and achieving spiritual enlightenment. The third part is a people's monologue. A people monologize about his life of achieving spiritual enlightenment. One reception context of Seowanga(서왕가) is propagating Buddhism to people. So Seowanga(서왕가) must be easy empathized by people. The people empathize with Seowanga(서왕가) through a people's monologue and the life of agony-achieving spiritual enlightenment. The other reception context of Seowanga(서왕가) is chanting a Buddhist prayer in Buddhist ritual. So Seowanga(서왕가) must be easy empathized by Buddhist monk. The Buddhist monk empathize with Seowanga(서왕가) through a disciplinant's monologue and the life of agony-achieving spiritual enlightenment.